조선이어해석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이어해석
조선이어해석
구비문학
문헌
1928년 김동진이 이어(俚語)와 속담의 어원을 풀이한 사전. 이어사전 · 속담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8년 김동진이 이어(俚語)와 속담의 어원을 풀이한 사전. 이어사전 · 속담사전.
내용

총 66쪽. 1928년 덕흥서림(德興書林)에서 발행하였다. 원제목은 ‘四千年間 朝鮮俚語解釋(사천년간 조선이어해석)’으로 항간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단어·방언·속담 등의 풀이와 어원을 밝혀놓았다.

저작동기는 저자 자신이 쓴 서문에 보면, 우리말 가운데 명사·방언 등이 무슨 뜻으로 하는 말인지 알 수 없는 것들이 많다.

또 글자음을 잘못 붙여 무슨 말인지 알 수 없는 말이 많으므로, 그런 말을 대강 유취하여 잘못된 뜻을 해석하였다고 하며, 책이름을 ‘이어해석’이라 한 것은 “시속말에 의심됨을 풀어놓았다.”는 뜻이라고 하였다.

체재는 가나다 순서로 편집하였으며, 목차는 ‘가’란에 가신애 외 38항, ‘나’란에 나으리 외 38항, ‘다’란에 다렉기 외 16항, ‘라’란에 라락 외 4항, ‘마’란에 마루 외 12항, ‘바’란에 바삭이 외 22항, ‘사’란에 사람 외 24항, ‘아’란에 아버지 외 27항, ‘자’란에 자제 외 28항, ‘차’란에 찹쌀 외 9항, ‘카’란에 코ᄯᅮᆼ이가 세다 외 28 항, ‘타’란에 타령 외 5항, ‘파’란에 팽패레한 사람 외 2항, ‘하’란에 하루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몰나 외 16항 등으로 ‘가신애’에서 시작하여 ‘흿더운말’을 끝으로 총 203항이 수록되어 있다. 한 예를 들면, ‘벼룩’은 “뛰기 잘 하는 버러지를 벼룩이라 한다. 사심이 ᄯᅳᆺ기를 잘 하는고로 방에 있는 사심이라는 ᄯᅳᆺ으로, 벽 벽(壁), 사심 록(鹿) 두자 음을 합하여 벽록을 벼룩이라 함이니라.”라고 풀이하였다. 이 책은 내용이 소략하고 해석에 있어 잘 맞지 않는 부분도 찾아 볼 수 있으나, 어원을 밝힌 속담이야기 부분은 초기 속담집으로서의 자료적 가치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