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초기 관계조직에는 보이지 않으며, 4세기 이후 왕권의 전제화과정에서 새롭게 관계조직을 정비함에 이르러 마침내 고구려 후기에는 14관등 중 제5위 관등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대대로(大對盧)·태대형(太大兄)·울절(鬱折)·태대사자(太大使者)와 함께 고구려 최고의 신분과 계급을 이루어, 이들과 함께 국가의 중대사를 맡고 정사를 의논하며, 병사를 징발하고 관작을 주는 일을 담당하였다.
또한, 조의두대형 이상의 관등을 가진 자만이 최고의 무관직인 대모달(大模達)에 임명될 수 있었다. 본래 ‘조의’는 3세기 이전 고구려의 초기 관계조직의 하위직의 하나였는데 고구려 후기에는 사라지고, 조의두대형에만 그 흔적이 보인다.
태대형·대형 등과 같이 연장자·족장의 성격을 지닌 ‘형’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