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회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함경도관찰사, 공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익장(益章)
시호
충헌(忠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1년(숙종 37)
사망 연도
1782년(정조 6)
본관
함안(咸安)
주요 관직
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함경도관찰사, 공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익장(益章). 생육신의 한 사람인 증참판 조여(趙旅)의 10대 손이며, 조봉원(趙逢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해(趙楷)이고, 아버지는 대사간 조영복(趙榮福)이다. 어머니는 이만봉(李萬封)의 딸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36년(영조 1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39년 설서가 되고, 예문관검열을 거쳐 1743년 정언이 되었다. 이 때 왕의 사묘(私廟)의 참례(參禮)와 사행(使行)의 폐를 통렬히 논박하다가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1748년 대신들이 경연석상에서 상주(上奏)하여 부수찬에 다시 기용되었으며, 교리·수찬을 거쳐 이듬해 헌납·겸사서·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1750년 탕평책을 반대하는 윤급(尹汲)을 변호하다 파직당했으나, 곧 기용되어 이듬해 겸필선이 되었다. 이어서 사은 겸 동지사(謝恩兼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정사 낙창군 당(洛昌君檔), 부사 신사건(申思建)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1752년 필선이 되고, 이듬해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라 승지를 역임한 뒤 1757년 대사간이 되었다.

1759년 대사성이 되었으며, 그 뒤 승지·병조참의·영변부사·양주목사 등을 거쳐 다시 승지가 되었다. 이 때 장헌세자(莊獻世子)가 뒤주에 갇혀 아사하게 되자, 그 부당함을 극간하다가 무장(茂長)으로 유배되었다. 1770년 개성유수, 이듬해 우윤·도승지를 역임하였다. 그 뒤 1772년 이조참판, 이듬해 대사헌·예조판서 등을 거쳐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1775년 이조판서에 이어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영조가 죽자 빈전도감(殯殿都監)의 도제조를 겸하였다. 정조의 즉위와 함께 함경도관찰사가 되었다. 이 때 함경도 지방에 혹심한 흉년이 들자 기근의 참상을 알리고 진휼책(賑恤策)의 시급함을 건의하였다. 1779년(정조 3) 공조판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치사(致仕)하여 기로소(耆老所)에 들었다.

1781년 세도가 홍국영(洪國榮)이 죽자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매산집(梅山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