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한보 ()

유교
인물
조선 전기에, 무극태극논쟁을 벌인 학자.
이칭
망기당(忘機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창녕(昌寧)
정의
조선 전기에, 무극태극논쟁을 벌인 학자.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망기당(忘機堂). 할아버지는 조상치(曺尙治)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의 유생이 되었으나, 1473년(성종 4) 생원 임지(任沚)·최희철(崔希哲) 등과 함께 성균관 관원들을 배척하고 동맹 휴학을 했다가 장형(杖刑)을 받고 과거 응시 자격을 박탈당하였다. 이후 많은 경전을 두루 섭렵하며 학문 연구에 심혈을 기울여 마침내 명유(名儒)가 되었다. 특히, 성리학에 깊이 침잠했으며, 불학(佛學)에도 이해가 깊었다.

1518년(중종 13) 경부터 시작된 후배 학자인 이언적(李彦迪)과의 성리학에 관한 논쟁은 우리나라 초유의 것으로 학계의 주목을 많이 끌어 왔다. 조한보의 학문과 사상은 이언적의 문집인 『회재집(晦齋集)』에 수록된 서찰 등에서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데, 대체로 도교나 불교 사상에 가까운 경향을 보이고 있다.

조한보는 존양(存養)을 말함에 있어 “심(心)이 무극의 경지에 소유(逍遊)해 허령의 본체로 하여금 내 마음의 주인으로 삼는다.(遊心於無極之眞, 使虛靈之本體, 作得吾心之主)”, “천지만물로 하여금 나를 조종(朝宗)하게 해 운용에 막힘이 없게 한다.(使天地萬物朝宗於我, 而運用無滯)”, “무극태허로써 오심(吾心)의 주(主)로 한다.(以無極太虛之體, 作得吾心之主).”라고 하여 도가 사상에 가까운 경지를 취하였다.

수양 공부의 방법으로는 “경(敬)을 주하여 심(心)을 존(存)함으로써 위로는 천리에 달한다.(主敬存心, 而上達天理)”라고 하여 선가(禪家)의 돈오(頓悟)에 가까운 견해를 취하고 있었다. 또한, 태극을 무극태허로 해석하고 “태허의 본체는 본래 적멸이다.(太虛之體本來寂滅)”라고 하여 불가의 진여적멸(眞如寂滅)의 열반경(涅槃境)을 태허의 본체, 즉 도체(道體)로 보았다.

조한보의 이와 같은 학설은 이언적으로부터 유자(儒者)의 설이 아니라고 날카로운 비판을 받았다. 이언적은 태극 위에 다시 무극이라는 것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도나 태극은 지고지묘(至高至妙)한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지근지실(至近至實)한 데 있기 때문에 이단(異端)의 공적(空寂)에서는 구할 수 없다는 말로 그의 학설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조선유학사』(현상윤, 민중서관, 1949)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