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성재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서봉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서봉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0년 서봉관의 아들 서유천(徐有千)과 문인 정민(鄭玟)·김윤석(金允錫) 등이 유고를 정리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오계수(吳繼洙)의 서문, 권말에 오장섭(吳長燮)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91수, 권2에 서(書) 75편, 잡저 9편, 서(序) 4편, 기(記) 6편, 사(辭) 1편, 제문 6편, 권3에 행장 6편, 사실(事實) 5편, 묘표 1편, 전(傳) 2편, 권4에 부록으로 연보, 행장, 묘표, 묘지명, 전, 사실, 존성재의 서(序)·기·명(銘), 노장정사기(老藏精舍記), 제문 1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별리(別離)의 감상, 우국의 충정, 여정의 객수 등을 주제로 한 것이 주목을 끈다. 「도한양성(到漢陽城)」은 도성에 오랑캐들이 득실거리는 현실을 개탄하며, 삼각산과 한강물의 영기(靈氣)로 이들 외세를 몰아내고 싶은 원망(願望)을 나타낸 시이다. 「배면암선생유감(拜勉菴先生有感)」은 스승 최익현(崔益鉉)을 배알하고 그의 인품과 우국충정에 감복해 지은 것이다.

서(書) 가운데 최익현·기우만(奇宇萬) 등에게 보낸 것에는 당시 도덕과 의리가 땅에 떨어지고 국운이 기울어감을 개탄하는 내용 등이 들어 있다. 「답정광현(答鄭光顯)」에서는 이기설(理氣說)을 언급하며 기질지성(氣質之性)에 관해 논하였고, 『대학』의 명덕(明德)을 심성(心性) 및 체용(體用)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하도(河圖)와 낙서(洛書)가 서로 경(經)·위(緯)의 관계에 있음과, 팔괘(八卦)와 구장(九章)이 표리 관계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잡저의 「사문문답약술(師門問答略述)」은 석전제(釋奠祭)와 기제(忌祭)의 행사 시간에 관해 스승과 문답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인물성설(人物性說)」에서는 인물성상이(人物性相異)의 견해를 보이고 있다. 「명덕설(明德說)」은 저자의 심성론에 관한 이론적 체계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