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암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서대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서대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2년 서대순의 증손자 서정효(徐廷孝)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의 서문, 권말에 김정년(金正秊)의 발문과 조카 서상철(徐相轍) 등의 후지(後識)가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142수, 서(書) 4편, 기(記) 2편, 의(義) 1편, 권2에 부록으로 차운시(次韻詩) 7수, 만(輓) 19수, 제문 2편, 행장·묘표·유집고성문(遺集告成文)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내용이나 소재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며 광범위하다. 「독대학(讀大學)」과 「독중용(讀中庸)」은 독서 뒤의 감회를 읊은 것으로, 경지(經旨)에 대한 찬탄을 표현하였다. 「화음팔영(華陰八詠)」에서는 어화(漁火)·추안(墜鴈)·취각(吹角) 등 서정적이며 목가적인 시제(詩題)를 채택하여 환상적인 정취를 묘사하였다. 「설매(雪梅)」·「설송(雪松)」·「납우(臘雨)」 등에서는 계절적인 정서나 감회를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안경(眼鏡)」이라는 시에서는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희학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증법사(贈法師)」에서는 구경열반(究竟涅槃)의 도피안(到彼岸)의 세계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면서 고도로 전문적인 수사적 용구(用句)를 동원하고 있어, 저자가 불교적인 사상에도 상당히 접근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밖에 등람(登覽)·승경(勝景)·영사(詠史)·개탄(慨歎)의 내용을 묘사한 시가 있다.

서(書)는 종인(宗人)·친지 등에게 보낸 일반적인 문후나 신변사에 관한 것으로 학문적인 내용은 거의 없다. 기 2편은 모두 사재(舍齋)에 관한 것들이다. 「지치형향의(至治馨香義)」는 주공(周公)이 성왕(成王)을 도와 이룩한 치적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