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와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이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이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종손 덕수(德秀)와 김세호(金世鎬)가 편집해 놓은 것을 1910년 7대손 대설(大卨)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권말에 대설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90수, 권2에 시 15수, 서(書) 9편, 권3에 잡저 3편, 서(序) 4편, 기(記) 2편, 지(識) 2편, 상량문 4편, 제문 10편, 묘갈명 2편, 찬(贊) 1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 43편, 제문 5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書)의 「여부사회중(與府司會中)」·「여이하경(與李廈卿)」은 안동의 태사묘(太師廟)의 향탁(香卓) 설치 문제를 놓고 논란을 벌인 것이다. 곧, 고려 초의 충신 권행(權幸)과 김선평(金宣平)의 배향 순서 문제로 고을 사람들이 각기 주장을 내세울 때 자기의 견해를 밝힌 것이다.

잡저 가운데 「효자권락기실(孝子權絡記實)」은 안동권몽삼(權夢參)의 서자 낙의 효행에 관한 기록이다. 임진왜란 중 적모(嫡母) 최씨(崔氏)를 업고 산 속으로 피난하면서 등창을 치료한 일들이 적혀 있다. 「오례의(五禮儀)」와 「상제례유훈(喪祭禮遺訓)」은 저자가 사당의(祠堂儀)·관례·혼례·상수례(上壽禮)·상례·제례 등에 관한 의식을 고금의 예문을 참작, 시의에 맞게 만든 것으로, 예학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서(序) 가운데 「육가보첩서(六家寶帖序)」는 친척인 윤석(胤錫)의 조부모와 부모 양 대가 모두 수를 누려 동뢰연(同牢宴 : 부부가 交拜를 마치고 나서 술잔을 서로 나누는 잔치)을 베푼 뒤 그 때의 의절 및 하객들의 시문을 모으고, 또 그림을 그려 만든 보첩에 대한 서문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