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물
생물
좀목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
이칭
이칭
의어(衣魚), 담(蟫), 백어(白魚), 병어(蛃魚), 벽어(壁魚), 두어(蠹魚), 반대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좀목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
내용

몸의 크기는 작은 형 내지 중간형이고, 일반적으로 납작하고 길다. 날개가 없고 더듬이는 길며 배의 끝마디에 3개의 꼬리부속기가 있다. 구기(口器: 음식물을 섭취하는 기관)는 씹는 형이다. 몸은 비늘가루로 덮여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없는 것도 있다. 대부분의 좀들은 자유생활을 하고 동작이 빠르다.

세계적으로 330여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좀목(Zygentoma) 좀과(Lepismatidae)에 속하는 좀, 작은좀, 서양좀 3종이 보고되었다. 좀은 몸길이가 11∼13㎜정도이고 더듬이와 3꼬리(쌍꼬리와 가운데꼬리)는 몸길이보다 길다.

몸의 바탕색은 백색이지만 등면은 흑갈색의 비늘로 배면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다. 흔히 집안에서 살며 의류와 종이(특히 서적)를 씹어 먹어 해친다. 인가 근처의 야외에서도 볼 수 있다.

『물명고』에서는 의어(衣魚)를 한글로 ‘의○’이라 하고 “옷·비단·책 속에 있는 좀[蠹]이다. 모양이 납작하고 꼬리가 갈라져 있으며 흰 가루를 가진다.”고 하였다. 동의어로 담(蟫)·백어(白魚)·병어(蛃魚)·벽어(壁魚)·두어(蠹魚)를 들었다.

『동의보감』에서는 의어(衣魚)를 한글로 ‘반대좀’이라 적고 “선은 따뜻하고 맛은 짜고 독이 없고(일설에는 독이 있다고 함), 부인의 산하(疝瘕: 허리 또는 아랫배가 아픈 여자의 병), 소변불리, 소아의 중풍, 항강(項强: 목덜미가 뻣뻣함)을 주로 고치고, 임질을 고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태(胎)를 떨어뜨리고 창반(瘡瘢: 헌데자리)을 없앤다. 일명 벽어(壁魚)라고도 하며 혹은 비단 속에서 오래 움직이지 않는다. 몸에 가루가 많아서 손으로 잡으면 떨어진다. …”고 하였다.

참고문헌

『물명고(物名考)』
『동의보감(東醫寶鑑)』
『국가 생물종 목록집』(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20)
『한국곤충명집』(한국곤충학회·한국응용곤충학회,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곤충분류학(昆蟲分類學)』(우건석 외, 집현사,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