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전휘류 ()

목차
유교
문헌
미상의 저자가, 『춘추좌전』을 내용별로 분류하여 8권 4책으로 엮은 유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미상의 저자가, 『춘추좌전』을 내용별로 분류하여 8권 4책으로 엮은 유교서.
내용

8권 4책. 필사본. 편자와 연대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은 천도류(天道類)·인사류(人事類), 권2는 거처류(居處類), 권3은 예악류(禮樂類), 권4는 기예류(技藝類), 권5는 복식류(服飾類), 권6은 기용류(器用類), 권7은 초목류(草木類)·충어류(蟲魚類), 권8은 문자류(文字類) 등이 수록되어 있다.

천도류의 「환공십칠년(桓公十七年)」은 일식(日食)에 관한 기록으로 천자 아래에는 일관(日官)이 있고, 제후에게는 일어(一御)가 있으며, 당시 10월 1일 있었던 일식을 기록하지 않은 일관의 잘못을 지적하여 신하 된 도리를 밝히고 있다.

예악류의 「제례(祭禮)」에서는 노환공(魯桓公) 16년 4월 공자가 죽으매 환공의 뇌문(誄文)을 기록한 것이다. 초목류의 「화맥(禾麥)」은 노은공(魯隱公) 3년 정나라가 주나라에서 벼와 보리를 수입하여간 양국간의 교역사실이 기재되어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 학자들이 편년체로 구성된 『춘추좌전』의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만든 분류서의 일종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