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남문집 ()

죽남문집
죽남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안치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안치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7년 안치묵의 증손 안승원(安承元)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의 서문, 권말에 안승원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181수, 권2에 시 56수, 소(疏) 3편, 권3에 서(書) 9편, 서(序) 7편, 기(記) 2편, 명(銘) 2편, 상량문 2편, 제문 18편, 애사 1편, 행장 2편, 권4에 유사·전(傳) 각 1편, 부록으로 만(輓)·제문·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정국(庭菊)」·「영매(詠梅)」·「등화(燈火)」·「백아(白鵝)」 등의 영물시(詠物詩)를 비롯하여 「학가산(鶴駕山)」·「반림만경(泮林漫景)」·「삼각산(三角山)」 등과 같이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서경시, 「춘청(春晴)」·「조춘우흥(早春偶興)」·「조한(早寒)」 등 계절적 감각을 표현한 시, 「객중수사(客中愁思)」·「야문침성(夜聞砧聲)」·「여야문안(旅夜聞鴈)」·「주등(酒燈)」과 같이 나그네의 우수를 읊은 시, 「답교(踏橋)」와 같은 풍속시, 「희제즉사(戱題卽事)」와 같이 남녀간의 염정(艶情)을 표현한 시 등 소재가 다양하다. 그 가운데 「반림만경」은 조연(朝煙)·관어(觀魚)·사양(斜陽)·혼종(昏鍾)·풍범(風帆) 등을 소재로 목가적이고 전원적인 낭만과 서정을 특히 잘 묘사한 작품이다.

소 가운데 「육조소(六條疏)」는 군학(君學)과 시무(時務)에 대해 6가지의 구폐책(救弊策)을 진언한 글이다. 서(書)는 오랜 친구간에 주고받은 일반적인 문후가 대부분이며, 서(序)·기 등도 길 떠나는 사람에게 전하는 송서(送序)나 호를 지으면 그 내용을 서술한 호기(號記) 등이다. 명의 「탕탕평평실명(蕩蕩平平室銘)」은 붕당의 폐습에 대한 소신을 피력한 것이다.

이 밖에 제문의 「삼차기우제문(三次祈雨祭文)」은 남단(南壇)·국내산천(國內山川)·성황(城隍)·우사단(雩祀壇)·축융씨(祝融氏)·후토씨(后土氏)·후직씨(后稷氏) 등에 대한 제문이 각각 있어, 당시의 풍속 사료로 평가된다. 전은 「정문충공종부평해황씨전(鄭文忠公宗婦平海黃氏傳)」으로 효부에 관한 이야기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