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농유고 ()

목차
유교
문헌
개항기 때의 무신, 한형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개항기 때의 무신, 한형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연활자본. 1933년 아들 익교(翼敎)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윤용(李允用)의 서문이, 권말에 익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있다.

시 443수, 서(序)·기(記)·설(說) 각 1편, 지(識) 2편, 발(跋) 2편, 후(後) 3편, 문(文) 2편, 제문 3편, 부록으로 시 40수, 서(序) 10편, 제문 2편, 묘비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화영록(和郢錄)」은 친구 이재정(李在正)과 함께 『동랑집(東郎集)』 중에 춘시(春詩) 30율이 있는 것을 보고 그 운을 따라 지은 것인데, 함운(咸韻)에서 시작하여 제운(齊韻)까지 20일에 걸쳐 완성한 것이다.

「칠순생조유감(七旬生朝有感)」·「회근일자술(回卺日自述)」 등의 시에서 부인과 해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는 고시와 절구, 율시 등이 혼합하여 편집되었다. 이밖에 잡저에는 「회근일자지(回卺日自識)」·「상당세승발(上黨世乘跋)」·「대동보발(大同譜跋)」·「제주백려가훈후(題朱柏廬家訓後)」·「죽농설(竹農說)」 등이 있다.

부록에는 서상춘(徐相春)과 사종질(四從姪) 흥교(興敎)가 지은 「하죽농칠십수(賀竹農七十壽)」, 이윤용(李允用)·이완용(李完用)·정만조(鄭萬朝)·신면휴(申勉休) 등이 지은 「하회근수연(賀回卺壽筵)」 등이 실려 있다. 무인 출신의 문집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들 수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