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죽재문집
죽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곽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곽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9대손 세한(世翰)이 시고(詩稿)를 편집하였는데, 1900년경에 부록과 함께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인섭(金麟燮)의 서문이, 권말에 곽종석(郭鍾錫)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수에 세계도, 권1에 시 40수, 부(賦) 1편, 부록으로 시고발(詩稿跋), 소(疏) 2편, 서(書) 12편, 잡저 4편, 권2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박성(朴惺)·김이(金餌)·김부륜(金富倫)과의 화답시(和答詩)가 대부분이다. 이는 이 문집의 초고는 모두 전란 중에 소실되고 후대에 와서 여러 저술 및 시축(詩軸 : 시를 적은 두루마리)에서 채집한 것이기 때문인 듯하다. 부인 「유소사(有所思)」는 한때 문인에게 회자되었다 한다.

소 가운데 「기관소(棄官疏)」는 제목만 있고, 「벽불소(闢佛疏)」와 「청유관학소(請留館學疏)」만 수록되어 있다. 「벽불소」는 문정왕후(文貞王后)가 선종(禪宗)·교종(敎宗)을 부활시키려 하자 그에 반대하는 상소이다.

「청유관학소」는 양종(兩宗)의 부활에 대한 항의로 권당(捲堂)을 한 태학(太學) 생도들이 다시 태학에 머무를 수 있도록 간청하는 내용이다. 조선조의 불교 관계 연구에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서(書)는 2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김부륜과 주고받은 것이다. 잡저는 한나라 장량(張良)이 국사에 몰두하느라 아우의 장례를 치르지 않은 일에 대해 그 시비를 논한 「제사부장론(弟死不葬論)」과, 문과 시험의 대책을 제시한 「충효책(忠孝策)」, 그리고 「증당상인시서(贈幢上人詩序)」·「죽산객헌록(竹山客軒錄)」 등이다.

부록에는 만사·제문·시찬(詩讚)·유사집록(遺事輯錄)·장록(狀錄)·행장·묘지명·월암사우(月巖祠宇)·상량문·봉안문·상향문 등이 실려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