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창한화 ()

목차
관련 정보
죽창한화
죽창한화
구비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풍속 · 제도 · 풍수 · 점복 · 인재 등 자신이 견문한 내용을 수록한 만록집.
이칭
이칭
죽천만록(竹泉漫錄), 죽천한화(竹泉閑話), 죽창잡화(竹窓雜話), 죽천한설(竹泉閒說)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이덕형이 풍속 · 제도 · 풍수 · 점복 · 인재 등 자신이 견문한 내용을 수록한 만록집.
내용

‘죽천만록(竹泉漫錄)’ 또는 ‘죽천한화(竹泉閑話)’라고도 하는데, 이는 저자의 호인 죽천(竹泉)에서 따온 것이다.

이 책의 이름은 이본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연려실기술』 별집 야사 목록 및 『대동야승』(권70), 『설해(說海)』(제91책) 등에는 ‘죽창한화[竹窓閒(閑)話]’로 되어 있는 데 비해,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인용서목에는 ‘죽천만록(竹泉漫錄)’ 또는 ‘죽창잡화(竹窓雜話)’로 나타나고, 『아주잡록(鵝洲雜錄)』 소수본에는 ‘죽천한화(竹泉閑話)’로, 『광사(廣史)』(제8집)·『총사(叢史)』(제18책) 소수본에는 ‘죽천한설(竹泉閒說)’로 되어 있다.

마에마(前間恭作)의 『고선책보(古鮮冊譜)』에 의하면 이 중 광사본 『죽천한설』은 저자의 또 다른 저서 『송도기이(松都記異)』가 혼기(混記)된 것으로서 편차가 혼란되어 있으며, 그 밖에 재산루(在山樓) 소장본 『죽천한화』도 양자를 혼기하여, 처음에는 『송도기이』의 서문을 넣고, 기사는 『죽천한설』로부터 초략 기재한 외에, 후반에는 저자가 지은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 민간의 소설류를 첨부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야승(野乘)』(제5책)에 있는 「이죽천덕형한설(李竹泉德泂閑說)」에도 『송도기이』 전문(全文)과 『죽천한설』에 들어가야 할 기사 3개항이 더 들어가 있다.

이 책의 기록들은 단번에 이루어졌다기보다는 붓 가는 대로 다년간에 걸쳐 씌어진 것임을 알 수 있는데, 기사 중 “김신국(金藎國) 등이 무신년(선조 41, 1608)에 서용(敍用)되었는데 이 해에 여순(汝諄)은 귀양가서 섬 속에서 죽었다. 그런 지가 지금 40년인데……” 운운하는 대목으로 미루어 이 책의 하한연대가 거의 저자의 몰년인 1645년까지 이름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의 대체적인 내용은 저자 자신이 견문한 풍속·제도·풍수·점복·몽사(夢事)·당쟁·인재·과거 등에 관한 것들을 포괄하고 있으며, 개중에는 특히 저자의 동족인 한산이씨(韓山李氏)들에 관한 항목들이 많이 눈에 띈다.

참고문헌

『시화총림(詩話叢林)』
『古鮮冊譜』(前間恭作, 東洋文庫, 1944∼195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