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무공신 ()

목차
관련 정보
진무공신만호최공실기
진무공신만호최공실기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인조 때 이괄(李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인조 때 이괄(李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내용

이괄은 인조반정 때 공이 많았음에도 반정계획에 뒤늦게 참가하였다 하여 2등에 녹훈됨에 불만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당시 변환(邊患)이 있다 하여 도원수 장만(張晩) 휘하에 부원수 겸 평안병사로 영변에 머물게 되었다. 이에 불만을 품고 이괄은 부하 이수백(李守白) · 기익헌(奇益獻) 등과 모의, 1624년(인조 2) 1월 반란을 일으켜 서울을 점령하였으나 추격하여온 장만 군에 의해 질마재에서 크게 패하고 도망가다가 부하에게 참수당하였다.

난이 진압된 뒤 그 해 3월 토벌에 따른 행상(行賞)을 3등으로 구분, 공신으로 책록하였다. 1등은 장만 · 정충신(鄭忠信) · 남이흥(南以興) 등 3인으로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이라 하였고, 2등은 이수일(李守一) · 김기종(金起宗) · 변흡(邊潝) · 유효걸(柳孝傑) · 김경운(金慶雲) · 이희건(李希健) · 조시준(趙時俊) · 박상(朴瑺) · 성대훈(成大勳) 등 9인으로 갈성분위효력진무공신이라 하였으며, 3등은 남이웅(南以雄) · 신경원(申景瑗) · 김완(金完) · 이신(李愼) · 이휴복(李休復) · 송덕영(宋德榮) · 최응일(崔應一) · 김태흘(金泰屹) · 오박(吳珀) · 최응영(崔應永) · 지계최(池繼崔) · 이락(李珞) · 이경정(李慶禎) · 이택(李澤) · 이정(李靖) · 안몽윤(安夢尹) · 이우(李祐) · 윤회(尹晦) · 김광소(金光熽) 등 30인으로 갈성분위진무공신이라 주1

또한 이들에 대한 특전으로 1등에게는 3계를, 2등에게는 2계를, 3등에게는 1계를 각각 올려주었으며, 1628년 왕명에 따라 공신 또는 그 적장(嫡長)에게 1계씩 더 올려주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동국문헌록(東國文獻錄)』
주석
주1

진무공신 명단 : 『인조실록』 5권, 1624년(인조 2) 3월 8일. "장만·정충신 등 진무 공신 27인을 책정하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장희(성균관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