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군 영인정씨 묘 출토 유물 ( )

목차
관련 정보
진양군영인정씨묘출토유물
진양군영인정씨묘출토유물
공예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에 있는 정씨묘에서 출토된 백자 및 묘지(墓誌).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진양군 영인정씨묘 출토 유물(晋陽郡 令人鄭氏墓 出土 遺物)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에 있는 정씨묘에서 출토된 백자 및 묘지(墓誌).
개설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백자 상감초화문 편병(白磁象嵌草花文扁甁) 높이 22.1㎝, 백자 상감묘지(白磁象嵌墓誌) 세로 38.6㎝, 가로 20.4㎝.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진양군 영인 정씨는 세조 때 언양현감을 지낸 김윤(金潤)의 어머니이다. 진양군은 출신 지역의 명칭이고 영인은 4품 벼슬 관리의 부인에게 주는 칭호이다. 정씨의 묘에서 편병(扁甁), 접시, 대접, 잔, 묘지(墓誌) 등 백자 10점이 출토되었다. 이 중에서 백자 상감초화문 편병, 백자 상감묘지, 백자 귀잡이잔 및 잔받침 등 3점의 유물은 그 남은 예가 드문 것으로, 상태가 양호하고 조형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제작 연대가 확실하여 조선 도자사의 편년(編年)을 가늠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이다.

내용

백자 상감묘지는 위패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위쪽의 연잎무늬는 묘지 상단의 윤곽을 잡고 있는데 묘지를 덮고 있듯이 연잎이 자연스럽게 선각(線刻)되었다. 아래쪽은 양단에 두 겹의 빗금을 긋고 그 안에 연꽃을 선각하였다.

묘지문(墓誌文)은 일곱 줄로 적혀 있는데, 한가운데에는 칸을 넓게 잡아 굵은 글씨로 제액(題額)을 쓰고 양쪽의 여섯 칸에 정씨의 가계, 가족상황, 사망일시 등의 내용을 적었다. 특히 1466년(세조 12)에 정씨가 사망하였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 여기에서 나온 유물들의 제작 연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대체로 묘지의 형식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선덕10년명(宣德十年銘, 1435) 청자 상감묘지와 동일하다. 연질(軟質)의 태토(胎土)에 글씨와 무늬를 흑색상감으로 새겨 넣었고, 유약은 백자유(白磁釉)를 엷게 입혔고 미세한 균열을 보인다.

백자 상감초화문 편병은 몸통이 둥글고 옆면을 없애 앞뒤로 배가 불러 있으며, 받침굽이 좁고 높아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흑색상감으로 선각된 모란무늬는 활발하고 능란한 필치와 자연스러운 구성이 돋보인다. 태토는 연질이고 유약은 백자유를 입혔고 미세한 균열이 나 있다.

또 한 점의 순백자인 귀잡이잔과 잔받침도 조선 초기의 백자로 톱니바퀴모양의 손잡이는 매우 희귀한 예이며, 명기(明器: 장사 지낼 때 죽은 사람과 함께 묻는 그릇)로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백자 상감초화문 편병와 백자 상감묘지는 태토의 질로 보아서 고려백자의 전통을 이어받은 듯하며 편병에 나타난 특이한 모양은 지방색이 짙다고 생각되므로, 이들은 언양 또는 거창 등 경상도의 백자가마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국보』 8-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