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야한십절 ()

목차
관련 정보
유인식의 동산문고 중 서문
유인식의 동산문고 중 서문
한문학
작품
1920년 유인식(柳寅植)이 지은 한시.
목차
정의
1920년 유인식(柳寅植)이 지은 한시.
내용

1920년 유인식(柳寅植)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10수. ≪동산고 東山藁≫에 수록되어 있다. <차야한십절>의 첫머리에 “사천 이백 오십 삼 년 일월 십 일 밤에 바람과 추위가 심할 때에 화롯가에 혼자 앉아 이 시를 읊는다.”라고 적혀 있다.

1919년 3·1운동 이후의 억압이 가중되는 상황을 다룬 이 작품은 현대시가 따르기 어려운 의식의 각성을 나타내고 있다. 밤이 차갑다는 말을 되풀이함으로써 모멸에 찬 삶의 고난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민족독립을 지향하는 불굴의 의지를 볼 수 있다. 신세타령이 아니라 각계각층에서 애쓰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자세히 조망하고 해외에서 한 투쟁까지 다루고 있다.

<차야한십절> 제 1수는 먼저 고개에 있는 정자의 정경을 말한다. 그리고 서리는 벽지에 엉기고 눈은 난간에 쌓인 이 추운 밤에 손수 땔나무를 해다가 양친을 따뜻하게 해드린다는 내용이다.

<차야한십절> 제 2수는 판잣집에 바람 부는 이 추운 밤에 장엄한 기운과 엷어진 가을 하늘에 애국청년들의 피의 대가로 옥에 갇혀 굶어 죽거나 얼어 죽은 혼이 되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차야한십절> 제 3수는 해외동포는 이 추운 밤에도 세찬 국제정세 속에 맨주먹을 휘두르고 있다. 시대가 영웅을 나게 하며 대한민국 원년의 서광이 비치리라는 내용이다.

<차야한십절> 제 4수는 중국의 눈보라, 요동(遼東)의 찬바람 부는 이 밤에 이국에서의 피눈물나는 고생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멀리 고국에 있는 동지를 생각하며 이 밤도 머리 맞대고 망국 설움에 잠 못 이룰 것이라는 내용이다.

<차야한십절> 제 5수는 학계의 제자들을 생각하며 홑이불에 불도 지피지 않은 찬 방에서 지낼 모습은 말로 다 못한다. 그러나 조국 강산은 그들 어깨에 달렸다고 기대하는 마음을 읊고 있다.

<차야한십절> 제 6수는 사회 여러 사람들은 이 추운 밤에 차가운 공부방의 책상머리에서 피 뿌리며 유려한 문장으로 국민들의 분발을 환기시키고 있으리라 생각하는 내용이다.

<차야한십절> 제 7수는 장사하는 겨레들은 이 추운 밤에 새벽 가게에 나가 술 한잔 마시려 하여도 주머니에 돈 한푼 없는데, 외국의 간상(奸商)들은 시장돈 다 긁어 가버리고 세모에 혼자 앉아 빈 가게만 지킨다는 내용이다.

<차야한십절> 제 8수는 노동하는 겨레들은 이 추운 밤에 빙판길 눈보라에 구르듯 달려간다. 그런데 4,000년이나 이어온 신명이 주신 이 겨레 이민족의 채찍을 어찌 견딜까 하고 읊고 있다.

<차야한십절> 제 9수는 “어둡고 그늘진 내 땅에서 이 추운 밤에 동쪽 한국에는 시름없는 곳이 없다. 듣자하니 돈 많은 후작들이 사는 마을에는 석탄 난로에 모피 휘장 봄 날씨처럼 따뜻하리.”라고 일제에 빌붙어 사는 매국노들의 호사를 풍자하고 있다.

<차야한십절> 제 10수는 “그러나 궁한 집안 추운 이 밤 한탄하지만 말아라. 땅 속의 양기(陽氣)가 다시 이미 열흘이나 지났으니 이마적에 동풍(봄바람)이 대지에 불어 죽은 뿌리 마른 나무에 꽃(광복)을 피워다오.” 하고 조국의 광복을 기원하고 있다.

<차야한십절>은는 고사(故事)가 없다. 매수의 첫 구 끝이 ‘차야한(此夜寒)’으로 되어 있다. 애국청년·해외동포·친우·학계·사회인사·상인·노동자 등의 4천만 민족을 골고루 시에 등장시켜 그 고통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조국 광복을 염원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근대의 문학작품으로 선도적인 위치에 있을 만하다. 그러나, 한시이기 때문에 널리 읽힐 수가 없었다.

참고문헌

『동산고(東山藁)』
『한국한문학사』(이가원, 보성문화사, 198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황병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