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장성 ()

고려시대사
유적
고려 초기에 여진족 등 외적의 침입에 대응하여 압록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북쪽 변경에 쌓은 장성.
이칭
이칭
고려장성, 고려천리장성
유적
건립 시기
1033년(덕종 2)~1041년(정종 7)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유소(柳韶)
높이
약 4~7m
깊이
약 400㎞(북한 학계: 약 630㎞)
소재지
고려시대 북쪽 경계 지역
내용 요약

천리장성은 고려 초기에 여진족 등 외적의 침입에 대응하여 압록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북쪽 변경에 쌓은 장성이다. 11세기 초 거란족과 여진족의 군사적 압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압록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북쪽 변경에 쌓았다. 길이가 1천 리라고 하여 ‘천리장성’으로 불렸으며, 고려장성(高麗長城)으로 인식되었다. 거란, 여진, 몽골 등 북쪽으로부터의 외적 침입 위협이 상존하였던 고려시대에 군사적 방어에 크게 기여한 대표적 관방 시설이다.

정의
고려 초기에 여진족 등 외적의 침입에 대응하여 압록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북쪽 변경에 쌓은 장성.
건립경위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축조한 것은 동북 변경의 여진족, 서북 변경의 거란족을 방비하기 위한 것이었다. 건국 이래 고려는 변경의 방비를 위해 관방(關防: 변방의 방비를 위하여 설치한 요새) 시설을 쌓았는데, 1014년(현종 5)에서 1030년(현종 21)에는 동북, 서북 양면의 요새 여러 곳에 성곽을 쌓았다.

특히 성종~현종 대 세 차례에 걸친 거란의 침입은 북계 지역의 방어 시설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서북 방면으로는 용주 · 철주, 안의진, 청새진, 그리고 지금의 의주인 위원진 · 인주 · 영덕진 등의 성을 쌓거나 보수하였고, 동북 방면에는 의주, 영평진, 요덕진, 상음현, 현덕진, 용진진 등의 성을 새로 쌓거나 보수하였다.

그러므로 천리장성의 축조는 이렇게 쌓은 북쪽 변두리 땅의 성(城)과 진(鎭)을 토대로 하여 1033년(덕종 2)부터 이들 관방을 선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추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사(高麗史)』에 “서북로의 송령(松嶺) 동쪽으로 장성을 쌓아 변방 적들의 침입을 막고자 하였다.”라고 한 것이 그러한 점을 말해 준다. 요새지 거점에 대한 관방 시설만으로는 방어상의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들 거점성을 중심으로 방어 체계를 하나의 연결선으로 전면 보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변천

천리장성의 축조는 1033년(덕종 2) 8월 왕이 주1 유소(柳韶, ?~1038)에게 명해 북쪽 변경에 관방을 쌓게 한 것이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다. 이것이 1차 장성의 축성인데, 이는 거란과의 외교적 긴장 속에서 국경 방어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작업은 이후 1035년(정종 1)과 1041년(정종 7) 2차와 3차 장성의 축성으로 이어져 북계 지역의 국경 지역을 아우르는 장성이 이루어졌다.

형태와 특징

천리장성의 위치는 서해안에 있는 옛 국내성(國內城) 경계의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으로부터 시작하여 동쪽으로는 지금의 의주(義州) 지역인 위원 · 흥화 · 정주 · 영해 · 영덕 · 영삭 · 정융 · 영원 및 그 부근의 평로 · 맹주 · 삭주 · 운주 · 안수 · 청새 등의 13성(14성)을 거쳐 지금의 함경남도 영흥(永興) 지역인 요덕 · 정변 · 화주 등의 3성에 연결되어 동해안에 이른다.

북한 학계에서는 천리장성이 압록강 하구에서 평안북도 북쪽, 자강도 희천, 평안남도 북단을 지나 함경남도 금야군과 정평군의 동해에 이르는 약 630㎞이며, 4단계에 걸쳐 구축된 것으로 정리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고려는 10세기 이후 거란, 여진, 몽골의 발흥에 의한 정세 변화 속에서 북쪽 변경으로부터의 지속적 외침의 위협에 시달렸기 때문에 그만큼 북쪽 변경의 군사적 중요성은 어느 시대보다 막중하였다. 한계는 있었지만, 군사적 방어가 가능했던 이유는 현종 대 이후 관방 시설의 적극적 구축과 천리장성 조성에 힘입은 바가 크다.

고려 사회가 정치적 · 외교적 · 제도적으로 안정을 기하면서 천리장성은 국경선의 기능, 혹은 문화권의 구분선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동북 방면은 장성 밖으로 길주(吉州)까지 주2가 설치되어 있어 장성은 여진족과 혈통이 섞이는 것을 막고, 문화적 차이를 구분하려는 구분선과 같은 기능을 가졌다. 그러나 동북 여진 정벌 후 성이 여진에게 반환된 뒤로 천리장성은 국경선으로서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논문

양시은, 「고려시대 전기 서북한지역의 관방체계」(『한국중세사연구』 64, 2021)
윤경진, 「고려 현종말~문종초 북계 주진 설치와 장성 축조」(『군사』 79, 2011)
신안식, 「고려시대 양계의 성곽과 그 특징」(『군사』 66, 2008)
신안식, 「고려 전기의 북방정책과 성곽체제」(『역사교육』 89, 2004)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내사문하성의 정이품 벼슬.    우리말샘

주2

국경 지대 또는 그 밖의 지역에 사는 이민족 집단. 또는 그런 집단을 간접 통치 하던 곳.    우리말샘

집필자
윤용혁(공주대학교 명예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