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제암(궁)지 (())

목차
관련 정보
천제암 궁지
천제암 궁지
건축
유적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에 있는 조선시대 마니산 참성단에서의 단군제례 관련 재궁터.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강화 참성단 천재궁 터(江華 塹星壇 天齋宮址)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기념물(1995년 03월 02일 지정)
소재지
인천 강화군 화도면 문산리 산64-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에 있는 조선시대 마니산 참성단에서의 단군제례 관련 재궁터.
내용

1995년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금 천제암 터에는 석축 3단을 올려 본 터를 닦았던 자취와 우물, 금표(禁表) 등이 남아 있다.

재궁이란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서 단군(檀君) 시조에 제사를 올릴 때 필요한 여러 가지 물품과 제기, 그리고 제물을 준비하던 건물을 말한다.

이 건물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의 문신 목은(牧隱)이색(李穡)의 시를 목판에 기록한 시판(詩板)이 있었다고 하며 조선시대에 들어 태종 임금도 왕위에 오르기 전 이곳에 들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 터는 고려시대부터 존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에도 명종이 당시 홍문관에 봉직하던 율곡(栗谷)이이(李珥)로 하여금 참성단 제사에 글을 지어 올리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단군제례는 조선시대 말기까지 지속되다가 1883년(고종 20)에 폐지되고 여기에 있던 불상은 강화도 전등사로 옮겨졌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