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벨롱갱이’라고도 한다. 특히, 부(富)의 사신(蛇神)인 칠성을 모시고 있는 집안에서 행한다. ‘철’은 계절, ‘갈이’는 교체의 의미를 지니는 말로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 행하는 제의라는 뜻이나, 흔히 음력 정월이나 초가을에 택일을 하여 집안에서 행한다.
본토의 안택(安宅) 또는 고사에 해당한다. 제의의 대상은 가신 전체이며, 제상의 차림은 굿의 규모를 크게 하느냐 작게 하느냐에 따라 다소 다르나 보통 문전상·조왕상·안칠성상·밧칠성상 등을 차려놓으며, 심방(무당)은 요령·신칼·산판 등 무구와 장구만 가지고 평복차림 그대로 제의를 집행한다.
제의순서는 심방에 따라 다소 다르나 일반적인 것은 부엌신인 조왕, 문신(門神)인 문전, 집터의 신인 오방토신, 곡물의 수호신인 칠성, 집안 출입로의 신인 주목지신(柱木之神)·정살지신, 낟가리신인 눌굽지신 등의 차례로 비념(작은 규모의 의례)을 한다. 조왕 비념은 부엌의 솥에서 메밥을 짓고 솥뚜껑만 열어 무남제(향나무가지를 잘게 깬 것)를 밥 위에 꽂아놓고, 심방이 솥 앞에 앉아서 요령을 흔들며 가내의 안전을 빈다.
문전 비념은 문전상을 상방(마루방) 앞쪽 문 앞에 내어놓고 심방이 그 앞에 앉아 장구를 치며 「문전본풀이」를 노래하고 문으로 들어오는 모든 액을 막아 행운이 가득하도록 비는 것이다. 오방토신 비념은 오방토신에게 집터를 오방에서 지켜주어 모든 액을 막아주도록 빌며 물그릇에 여러 가지 제물을 말아 숟가락으로 사방에 조금씩 떠 던지는 것이다.
칠성 비념은 안칠성상을 ‘고팡[庫房]’에 차리고 밧칠성상을 상방 뒷문 앞에 차려놓아 「칠성본풀이」를 노래하고 고팡의 곡식을 잘 지켜주고 부를 이루어주도록 비는 것이다.
기원이 끝나면 칠성눌을 갈아 덮는다. 칠성눌이란 뒤꼍에 밧칠성신을 모신 곳인데, 기왓장에 오곡을 조금씩 놓고 그 위에 다시 기왓장을 덮어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띠를 엮어 덮은 것이다.
이 때 1년 묵은 오곡을 새 것으로 갈아놓고 띠를 갈아 덮는다. 주목지신 비념·정살지신 비념·눌굽지신 비념은 집안 출입로인 ‘올래’와 낟가리 자리인 ‘눌굽’에 가서 물그릇에 말아놓은 제물을 숟가락으로 떠 던지며 각각 소임을 지켜주어 행운이 내리도록 비는 것이다. 이 철갈이는 신년 가신제(新年家神祭)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나 부의 뱀신인 칠성에의 기원과 칠성눌 갈아 덮기에 중점을 두는 점이 특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