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0.4㎝, 입지름 27.5㎝, 밑지름 22.3㎝.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은입사기법(銀入絲技法)은 동기(銅器)의 표면에 홈을 파서 가는 은선(銀線)을 감입함으로써 무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은입사기법은 고려시대의 향완 및 금속기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이 향완은 넓은 턱, 몸체, 그리고 몸체 아래쪽으로 나팔 모양으로 벌어진 밑받침을 접속시킨 형태를 가지고 있다. 턱과 몸체를 연결하는 부분은 자연스럽게 둥글렸고, 몸에서 바닥에 이르는 부분 역시 유려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법은 조형(造型)이 흙에 비하여 자유롭지 못한 금속기에 있어서 뛰어난 기술적 수법을 요하는 것이기도 하다.
향로의 몸체에는 버드나무 아래에 물오리가 노니는 이른바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이 시문되었다. 이 무늬는 상감청자에서도 즐겨 사용된 것으로 금속기 가운데에서는 정병류(淨甁類)에서 주로 보이는데 반해, 향완 가운데에서는 이 작품에만 나타난다. 몸체의 한 면에는 연화좌(蓮花座)를 갖춘 위패형의 장식을 넣고, 그 안에 5행 34자의 명문을 입사기법으로 새겨 넣었다. 그러나 이 명문 내용으로는 향로의 제작시기 등을 알 수 없다.
향로 받침대의 위쪽에는 연판문대(蓮瓣文帶)가 보이며, 다리에는 당초문(唐草文)이, 그리고 나팔처럼 퍼진 맨 아래 바닥과 굽에는 군데군데 구름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이 향완은 양식적인 측면에서 고려 중기인 13세기경의 작품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