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자루솥 ( 자루솥)

목차
관련 정보
천마총 자루솥
천마총 자루솥
공예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위치한 신라시대 무덤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자루솥.
이칭
이칭
청동제초두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천마총 자루솥(天馬塚 ?斗)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78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위치한 신라시대 무덤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자루솥.
개설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라의 무덤에서는 많은 부장품과 함께 제기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청동제 용기가 다수 출토된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초두(鐎斗)로서, 주머니형의 몸체 뒤로 손잡이와 세 개의 긴 다리가 달려있는 삼족형이 기본적인 모습이다. 백제의 초두가 중국에서도 남조(南朝)의 영향을 받은 납작한 몸체와 긴 주구부와 위로 꺾여 길게 솟은 손잡이, 과장되게 휘어진 다리가 특징적이라 한다면 신라의 초두는 고구려의 것과 매우 비슷하며 시기에 따라 조금씩 그 형태가 바뀌어 나간다.

내용

천마총 초두는 앞쪽에 붙은 주구가 양 머리 형태로 만들어져 있는데, 백제, 고구려와 달리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동그랗게 처리된 항아리 모양의 몸체 중단에 한 줄의 돌기를 둘렀고 그 한쪽에 붙여 단면 방형의 아래로는 3개의 다리와 단면 사각형의 짧은 손잡이가 부착되었다. 이 손잡이는 내부가 비어있고 그 끝단에 고정용 못을 끼울 수 있도록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점으로 미루어 나무 자루를 꽂아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추정된다. 몸체 위에 올려 있는 뚜껑은 안쪽으로 가면서 점차 솟아오른 모습인데, 그 가장자리에는 여러 겹의 동심원문이 돌려져 있으며 중앙부에 보주형의 꼭지가 솟아있다. 뚜껑의 한쪽으로 경첩식 고리를 만들어 몸체와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었다. 몸체 바닥에 거의 직선으로 붙어있는 세 개의 다리는 하부로 가면서 좁아지다가 그 끝단이 말굽처럼 방형으로 넓게 처리된 점이 주목된다.

황남대총 북분에서도 이와 유사한 양머리 모양 초두가 출토되었지만 뚜껑의 꼭지가 고리 형태인 점이 다르다.

참고문헌

『공예 Ⅰ-고분미술』(이한상, 예경, 2006)
『황금의 나라 신라』(이한상, 김영사, 2004)
『고분미술Ⅰ·Ⅱ』(이영훈·신광섭, 솔출판사, 2003)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국립경주박물관, 통천문화사, 2002)
『신라 황금 –신비한 황금의 나라』(국립경주박물관, 씨티파트너, 200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