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 옻칠 발걸이 ( )

목차
관련 정보
청동 옻칠 발걸이
청동 옻칠 발걸이
공예
유물
국가유산
통일신라시대의 말안장 발걸이.
이칭
이칭
청동흑칠호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동 옻칠 발걸이(靑銅 黑漆 壺?)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청동용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3년 01월 15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말안장 발걸이.
개설

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4.7㎝, 너비 12.1㎝, 길이 14.9㎝.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출토지는 미상이나 대구의 개인 수장가인 이양선(李養璿)이 1986년 국립경주박물관에 기증한 일련의 유물들 중 발걸이이다.

내용

말안장의 일부인발걸이, 즉 등(鐙)은 초기에는 테로 이루어진 윤등(輪鐙)이었다가 이 발걸이처럼 앞에 덮개를 덮은 호등(壺鐙)으로 발전하였다.

이 호등은 등단(鐙靼)과 연결되는 부분이 방형이며, 밑에 긴 방형 구멍이 있어 등단을 매게 되어 있다. 몸체는 마치 버선의 앞부분 같고, 표면에는 위의 고리에서 좌우로 굴곡을 지으면서 굵은 테를 돌렸는데, 밑에는 작은 둥근 구멍을 뚫었다. 고리에서 다시 콧등을 따라 굵은 융기선이 내려왔고, 고리와의 접속부와 콧등 좌우, 그리고 콧등 밑 좌우에는 각각 마주보는 엽문(葉文)이 도드라지게 새겨졌다.

바닥은 콧등에서 내려온 융기선이 코밑에서 바닥으로 연속되다가 위의 엽문을 확대 변형시킨 넓은 문양이 새겨졌고, 하단(下端)에 삼원형(三圓形)의 구멍이 나있다. 몸체 좌우의 넓은 공간에는 사선형의 돋을새김선을 촘촘히 시문하되, 중앙 부근에서 상하로 구분하여 사선의 방향이 바뀌어 어골문(魚骨文) 같은 형상이 되었다.

발걸이 1쌍 모두 청동제의 주조물이며 전면에 검은색의 옻칠이 남아 있다. 1점은 약간의 균열이 있을 뿐 완형을 유지하고 있으나 다른 1점은 많은 손상을 입었다.

의의와 평가

고신라시대 고분에서 철제 윤등이 출토된 예는 상당히 많으나 이와 같은 호등은 출토된 예가 없는, 현재로서는 유일한 것이다. 따라서 비교 고증할 자료가 없으나 제작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할 뿐이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1992∼1993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4)
『국은이양선수집문화재』(국립경주박물관, 198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진홍섭(전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