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연자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태음인의 간과 폐에 열이 있는 증후들을 치료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태음인의 간과 폐에 열이 있는 증후들을 치료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기록되어 있다.

이 처방은 태음인이 지니고 있는 간대폐소(肝大肺小)한 장국(臟局)의 특성에서 유래되는 간수열이열병증(肝受熱裡熱病症)으로 인하여 생기는 목동(目疼: 눈이 아픔.) · 비건(鼻乾) · 두통 · 체통(體痛) · 정충(怔忡:심장이 심하게 불규칙하게 박동하는 증상) · 불면 · 식욕부진 · 천식 · 해수(咳嗽) · 변비 · 소변황적(小便黃赤) · 구갈(口渴) · 흉복통(胸腹痛) · 협심증(狹心症) 등 여러 병증에 다양하게 응용되는 명방(名方)이다.

이 처방이 『화제국방(和劑局方)』의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이나 귀비탕(歸脾湯)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대상으로 하는 증후에 있어서는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되, 이 처방은 구성의 의도가 체질적인 특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 다르다.

조위승청탕(調胃升淸湯)과 비교해볼 때 조위승청탕은 추위를 잘 타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정충 · 무한(無寒) · 기단(氣斷) · 결해(結咳) · 설사 등의 증후를 대상으로 쓰는 것이고, 청심연자탕은 더위를 잘 타는 사람(素病熱者)에게서 나타나는 목동 · 인건(咽乾) · 불면 · 변비(便秘) · 발반(發斑) 등의 간열(肝熱)한 증후를 대상으로 투여하는 처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처방은 연자육(蓮子肉) · 산약(山藥) 각 7.5g, 천문동(天門冬) · 맥문동(麥門冬) · 원지(遠志) · 석창포(石菖蒲) · 산조인(酸棗仁) · 용안육(龍眼肉) · 백자인(柏子仁) · 황금(黃芩) · 나복자(蘿葍子) 각 3.75g, 감국(甘菊) 1.125g으로 되어 있다.

군약(君藥)으로 쓰는 연자육은 그 성(性)이 평무독(平無毒)하고 맛이 감삽(甘澁)하며 정신을 양(養)하고 중기(中氣)를 보(補)하여 비허설사(脾虛泄瀉) · 몽설(夢泄) · 유정(遺精) · 요통(腰痛) · 불면 · 심계 · 항진(亢進) · 붕루(崩漏) · 대하(帶下) 등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산약은 성이 온무독(溫無毒)하고 맛은 달고 보폐안신(補肺安神)시키는 작용이 있다. 이 처방을 쓸 때 불면증이 심할 경우에는 석창포를 빼고, 하혈이 있으면 아교주(阿膠珠)를 첨가한다. 또 이 처방은 정충증 · 건망증 · 폐결핵〔虛勞〕 · 몽설 · 유정 · 중풍 등에 쓰는 처방이므로 심장질환, 각종 신경성질환, 고혈압 · 뇌혈관질환 등의 실제 임상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처방대전』(염태환, 향림서원, 1975)
『사상의학원론』(홍순용·이을호, 향림출판사,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