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연자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태음인의 간과 폐에 열이 있는 증후들을 치료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태음인의 간과 폐에 열이 있는 증후들을 치료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기록되어 있다.

이 처방은 태음인이 지니고 있는 간대폐소(肝大肺小)한 장국(臟局)의 특성에서 유래되는 간수열이열병증(肝受熱裡熱病症)으로 인하여 생기는 목동(目疼: 눈이 아픔.) · 비건(鼻乾) · 두통 · 체통(體痛) · 정충(怔忡:심장이 심하게 불규칙하게 박동하는 증상) · 불면 · 식욕부진 · 천식 · 해수(咳嗽) · 변비 · 소변황적(小便黃赤) · 구갈(口渴) · 흉복통(胸腹痛) · 협심증(狹心症) 등 여러 병증에 다양하게 응용되는 명방(名方)이다.

이 처방이 『화제국방(和劑局方)』의 주2이나 주1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대상으로 하는 증후에 있어서는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되, 이 처방은 구성의 의도가 체질적인 특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 다르다.

조위승청탕(調胃升淸湯)과 비교해볼 때 조위승청탕은 추위를 잘 타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정충 · 무한(無寒) · 기단(氣斷) · 결해(結咳) · 설사 등의 증후를 대상으로 쓰는 것이고, 청심연자탕은 더위를 잘 타는 사람(素病熱者)에게서 나타나는 목동 · 인건(咽乾) · 불면 · 변비(便秘) · 발반(發斑) 등의 간열(肝熱)한 증후를 대상으로 투여하는 처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처방은 주3 · 주4 각 7.5g, 주5 · 주6 · 주7 · 주8 · 주9 · 주10 · 주11 · 주12 · 주13 각 3.75g, 주14 1.125g으로 되어

군약(君藥)주15으로 쓰는 연자육은 그 성(性)이 평무독(平無毒)하고 맛이 감삽(甘澁)하며 정신을 양(養)하고 중기(中氣)를 보(補)하여 비허설사(脾虛泄瀉) · 몽설(夢泄) · 주18 · 요통(腰痛) · 불면 · 심계 · 항진(亢進) · 주19 · 주20 등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산약은 성이 온무독(溫無毒)하고 맛은 달고 보폐안신(補肺安神)시키는 작용이 있다. 이 처방을 쓸 때 불면증이 심할 경우에는 석창포를 빼고, 하혈이 있으면 주16를 첨가한다. 또 이 처방은 주17 · 건망증 · 폐결핵〔虛勞〕 · 몽설 · 유정 · 중풍 등에 쓰는 처방이므로 심장질환, 각종 신경성질환, 고혈압 · 뇌혈관질환 등의 실제 임상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처방대전』(염태환, 향림서원, 1975)
『사상의학원론』(홍순용·이을호, 향림출판사, 1973)
주석
주1

정신을 안정시키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하는 보약. 신경 쇠약, 불면증, 건망증, 유정(遺精) 따위의 치료에 쓴다.    우리말샘

주2

연밥, 인삼, 황기, 맥문동 따위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심화(心火)가 성하여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며, 오줌이 붉고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3

연꽃의 익은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설사를 멈추게 하고 정기를 보충하며 심신을 안정하는 데에 쓴다.    우리말샘

주4

마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강장제로서 유정(遺精), 대하, 소갈, 설사 따위를 치료하는 데에 쓴다.    우리말샘

주5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1~2미터이고 덩굴성이며, 방추형의 뿌리줄기가 여러 개로 되어 있다. 5~6월에 누런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뭉쳐나고, 둥근 열매는 지름이 6mm 정도이며 흰색이다. 애순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바닷가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6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50cm이고 뿌리는 짧고 굵으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선 모양 또는 선상 피침 모양으로 부추의 잎과 비슷하다. 5~6월에 담자색의 작은 꽃이 총상 화서로 잎 사이에서 나온 가는 꽃줄기 끝에 밀착하여 피고 열매는 검푸른 장과(漿果)로 익는다. 덩이뿌리는 약재로 쓴다. 산지(山地)의 나무 그늘에 나는데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강원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7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선 모양이다. 7~8월에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며 뿌리는 약용한다. 함경도, 황해도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8

천남성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가 많으며, 잎은 뭉쳐나고 선 모양이다. 6~7월에 잎처럼 생긴 꽃줄기 끝에 누런 녹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뿌리와 줄기는 청량 건위제나 구충제로 쓰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흐르는 물가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9

멧대추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원기를 돕고 땀을 흘리지 않게 하며 잠을 잘 자게 한다.    우리말샘

주10

용안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심신 불안, 건망증, 불면증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11

측백나무 열매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심신을 안정시키고 장을 윤활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경계, 정충, 허한, 변비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12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6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자줏빛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는 약용하며,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3

‘무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체하거나 담을 다스리는 데에 쓴다.    우리말샘

주14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10~11월에 노란 두상화가 가지 끝에 모여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꽃은 약용하거나 말려서 술에 넣는다. 길가나 산기슭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5

한약 처방에서 가장 주가 되는 약.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숙지황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6

아교를 잘게 썰어 불에 볶아 구슬 모양으로 만든 약. 강장제나 지혈제로 쓴다.    우리말샘

주17

심한 정신적 자극을 받거나 심장이 허할 때 가슴이 울렁거리고 불안한 증상.    우리말샘

주18

성교를 하지 아니하고 무의식중에 정액이 몸 밖으로 나오는 일. 수면 중 꿈을 꾸면서 사정하는 것은 생리적 현상이나 그 이외의 것은 병적 증상이다. 흔히 몸이 허약할 때 일어난다.    우리말샘

주19

월경 기간이 아닌 때에 갑자기 많은 양의 피가 멎지 않고 계속 나오는 병.    우리말샘

주20

여성의 질에서 나오는 흰색이나 누런색 또는 붉은색의 점액성 물질.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