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구룡형 주전자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구룡형 주전자
청자 구룡형 주전자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시대의 청자 주전자.
이칭
이칭
청자귀형수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구룡형 주전자(靑磁 龜龍形 注子)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청자 주전자.
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17㎝, 몸지름 20㎝, 밑지름 10.3㎝, 배지름 14.5㎝, 굽지름 9.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복판(複瓣)의 앙련(仰蓮) 위에 앉아 있는 거북을 형상화한 상형(象形)의 주전자이다.

내용

물을 넣는 수구(水口), 물을 따르는 주구(注口), 몸통,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얼굴 모습은 거북이라기보다 오히려 용에 가까워 실재하지 않는 상상의 동물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마 위의 뿔과 수염, 갈기, 눈, 이빨, 비늘 등 각 부분이 모두 부드러우면서도 정교한 솜씨로 만들어졌다.

거북의 등 가운데에는 잎맥까지 섬세하게 표현된 작은 연잎이 오므라진 채 붙어 있으며, 그곳으로 물을 넣는다. 그 뒤편으로는 두 가닥으로 꼬인 손잡이가 몸체 아래의 연화받침대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의 윗부분에는 작은 고리가 있어서 아마 연봉형(蓮棒形)의 뚜껑과 연결되어 있었을 것이다.

거북의 몸체는 물을 담아야 하는 기물로서의 기능을 고려한 듯 비교적 크고 당당하게 표현하였다. 거북의 등에는 귀갑문(龜甲文)이 새겨져 있는데 그 안에는 ‘王(왕)’자를 써넣었고, 눈과 손잡이 등에는 철화안료로 점을 찍어 장식하였다.

유약의 광택은 비교적 적은 편이나 은은한 윤기가 흐르고 각 부분에 고르게 시유(施釉)되었으며, 굽 바닥의 세 곳에 커다란 내화토(耐火土) 받침자국이 남아 있다.

12세기경 고려청자 최전성기의 작품으로서 손색이 없는 우아한 비색(翡色)과 함께 우수한 조형술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국보』5(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5)
『한국의 미』4(최순우 감수, 중앙일보사,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