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5.5㎝, 입지름 7.0㎝, 밑지름 15.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매병은 고려 시대에 가장 많이 제작된 청자 기형의 하나이다. 매병은 중국에서 먼저 제작되었고 11세기 후반경 고려에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에 전래된 매병은 고려인의 미의식과 조형감각이 부여되면서 기형과 문양이 중국의 매병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독자적 양식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고려 매병 양식의 확립은 신라시대 이래 제작된 반구병(盤口甁) 형태의 전통에 힘입은 것이기도 하다. 이 보자기문 매병은 고려 매병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매병의 형태는 반구형 아가리에 부드러운 S자형 측면을 이루고 있다. 문양은 오목새김과 상감기법이 병행되었다. 상감장식은 입 부분의 뇌문대(雷文帶)와 어깨의 보자기문, 그리고 배형(杯形) 뚜껑의 운학문과 뇌문대에만 국한시켰다. 그리고 몸체의 모란절지문, 몸체 하부의 여의두형 운두문(雲頭文), 굽 부분의 뇌문대를 오목새김 장식함으로써 전체적인 문양 장식을 이원화하였다.
어깨에 드리운 방형의 보자기문은 흑백상감된 국당초문을 두고 그 둘레에 다시 도안화된 백상감 당초문대와 흑백상감의 연주문대(連珠文帶)를 장식함으로써 매우 세련된 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몸체의 모란절지문은 상하 세로로 길게 배치했다. 이러한 점은 중국의 매병보다 주로 고려청자 매병에서 자주 등장하는 양식적 특징이다.
비교적 고른 태토에 광택이 있는 청회색계의 유약이 입혀졌으며 전면에 그물 모양의 잔 빙렬이 있다. 이러한 유태나 상감기법을 보여주는 파편들이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청자요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이 매병과 함께 반출되었다고 전해지는 승반(承盤)이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