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상약국’명 음각 운룡문 합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상감상약국명합
청자상감상약국명합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 시대의 청자 합.
이칭
이칭
청자상감상약국명합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78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충북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한독의약박물관 (대풍리)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합.
내용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9.6㎝, 입지름 7.5㎝, 밑지름 6.0㎝.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고려청자에는 합이 상당수 전해지는데, 키가 작고 납작한 형태와 키가 높아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이 합은 키가 높은 원통형으로 금속기에서 유래된 기형으로 생각되는데, 이 합과 같은 모양의 금속합이 황룡사목조구층탑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바 있다. 이 합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단순한 원통형인데, 뚜껑 윗면의 둘레와 하부의 둘레를 약간 깎아내어 일종의 단을 이루고 있는 점 등은 금속기의 특징이 남아 있는 것이다.

뚜껑의 윗면에는 반양각(半陽刻) 기법으로 반룡문(蟠龍文)을 시문한 뒤 둘레에 음각선을 가하여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하였다.이 합에서 주목되는 것은 뚜껑과 밑짝의 각 측면에 ‘尙藥局(상약국)’이라는 명문을 백상감기법으로 표기했다. 상약국이란 고려시대에 의약을 담당하던 관청으로 약을 담는 용기임을 알 수 있다.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에 의하면, 상약국은 990년(성종 9)에 이미 설치되어 있었고 이후 충선왕대까지 그대로 존속되다가 한때 봉의서(奉醫署)로 개칭되었고 다시 상약국·전의시(典醫寺) 등으로 불렸다.

비취색의 유색, 규석 조각 받침, 상약국의 상감 등으로 미루어보아 12세기 중엽경에 만든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와 비슷한 상약국명 청자 파편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바 있고 국립중앙박물관과 일본 야마토분가관[大和文華館]에 이와 비슷한 합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국보』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4)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