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0㎝, 입지름 4.6㎝, 밑지름 10.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시대에 성행하였던 매병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백자에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는 반면, 분청사기에 그 맥이 이어져 무늬와 형태에서 새로운 모습의 매병이 제작된다. 따라서 남아 있는 매병 중에는 유태(釉胎)는 물론 기형과 문양이 조선 분청사기 매병 양식으로 변형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들이 많이 있는데, 이 매병은 그러한 조선 초기 매병의 하나이다.
형태를 보면 어깨가 처지고 몸체 윗부분의 양감이 강조되지 않은 점은 고려적인 양식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아가리는 고려 전성기 때의 매병 특징인 반구형(盤口形)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수리·복원이 잘못 이루어져 나타난 결과로 여겨진다. 고려 매병은 대체로 14세기경이 되면 반구형의 전통을 버리고 밖으로 벌어진 나팔형(喇叭形)의 아가리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형태가 고려 말, 조선 초 매병의 전형적인 특징을 이룬다.
몸체에는 주문양을 두고 어깨와 몸체 아랫부분에 연판문대를 배치하고 주문양과 연판문대 사이에 다시 당초문과 초화문의 좁은 문양대를 두어, 모두 5단의 문양 구성을 이룬다. 주문양으로는 몸체 4면에 백상감의 이중원권문 안에 흑상감으로 표현된 2마리의 물고기가 있고, 원 밖에는 다시 연주문대를 둘러 장식하였다. 여백은 우점문(雨點文)으로 메우고 그 속에 4마리의 학을 상감하였는데, 청자 운학문의 퇴화된 양식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옅은 청색이 감도는 유약이 입혀졌으며, 일부는 산화된 부분도 보인다.
이 작품은 복잡한 문양 구성과 인화기법을 이용한 연주문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점, 그리고 어깨의 당초문대와 하부의 변형된 초화문 등은 분청사기의 새로운 의장으로 모색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