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청화 철채 동채 초충문 병 ( )

목차
관련 정보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후기의 백자 병.
이칭
이칭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 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97년 01월 0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백자 병.
내용

1997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42.3㎝, 입지름 4.1㎝, 밑지름 13.3㎝. 간송미술관 소장. 남아 있는 조선시대 백자들을 보면 대체로 단순한 형태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의장면(意匠面)에서 다채로운 색채의 사용을 절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볼 때 양인각(陽印刻)으로 시문된 문양 위에 청화·철사·진사를 함께 곁들여 장식한 예는 조선 도자에서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주목된다.

형태는 가늘고 긴 목이 점차 넓어져서 어깨로 이어지며 몸체는 풍만하게 부풀었고 약간 낮은 굽을 형성하였다. 굽은 선을 그은 듯이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으며, 아가리는 그대로 끊어내어 날카로운 맛이 있다. 18세기 전반경의 백자병은 대체로 아가리의 끝이 약간 밖으로 벌어지거나 아가리의 끝을 밖으로 말아 둥글게 마무리한 형태의 것이 많은 데 비하여 이 병과 같은 아가리의 형태는 드물게 보이는 것이다.

병의 앞뒤 양면에는 국화와 난초가 회화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벌과 나비들의 노니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무늬는 돋을무늬로 양인각한 뒤 난초는 청화, 국화는 진사, 국화 줄기와 잎은 철사, 벌과 나비는 철사 또는 진사로 채색하였으며 발색은 양호하다.

투명한 백자유가 약간 두껍게 입혀졌는데 유의 발색은 부드러우며 전면에 걸쳐 세밀한 그물모양의 빙렬이 나타나 있다. 굽 밑에도 유약을 입히고 굽다리에 내화토(耐火土)가 약간 묻어 있다.

이 병은 같은 종류의 조선 백자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하며, 온전하게 보존된 전세품으로서 개성에서 온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유태의 질, 형태의 적정한 비례감, 세련된 문양표현 등으로 미루어 보아 18세기 전반경 경기도 광주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22 광주분원리요청화백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94)
『한국의 미』2 백자(정양모 감수, 중앙일보사,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