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찰사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말부터 조선에 걸쳐 지방에 임시로 파견되던 사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말부터 조선에 걸쳐 지방에 임시로 파견되던 사행.
내용

임명되는 자의 직급에 따라 도체찰사(都體察使)와 체찰사로 구별되었으며, 주로 비상시에 군대를 지휘하거나 기타 군사업무를 맡았다.

고려말 공민왕대 이후 왜구가 격화되는 상황에서 도순찰사(都巡察使) · 순찰사 · 도찰리사(都察理使) · 찰리사 등과 함께 파견되어 군사를 지휘하여 왜구를 막았다. 도체찰사 · 도순찰사 · 도찰리사 등은 2품 이상인 자로 임명되어 대개 원수(元帥)를 겸하였고, 순찰사 · 찰리사 등은 3품관이 임명되었다.

조선 초기, 특히 세종 때는 양계(兩界)에 행성(行城)의 축조를 주획, 감독하도록 도체찰사가 자주 파견되었고, 세조 때는 보법(保法)의 실시에 따른 군적(軍籍)의 개편과 진관체제(鎭管體制)의 정비를 위하여 여러 차례 도체찰사가 파견되었다. 이 시기에는 고려 말과 달리 ‘출사재상(出使宰相)’의 칭호가 품계에 따라 구분되었다.

1488년(성종 19)에 다시 정1품은 도체찰사, 종1품은 체찰사, 정2품은 도순찰사, 종2품은 순찰사로 규정된 뒤, 추가로 3품은 찰리사로 정해져 『대전속록』에 수록되었다. 1510년(중종 5) 비변사가 설치된 뒤로는 도체찰사가 군령체계(軍令體系)의 정점에 위치하여 재경총지휘관(在京總指揮官)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4인의 도체찰사가 동시에 임명되어서 군령체계에 혼란이 일어났다. 그러나 결국 남 · 북도체찰사로 이원화되었다. 이러한 전시 비상체제는 전란이 끝난 뒤에도 해체되지 않고 유지되어, 국내외 정세의 변화에 큰 기능을 못하다가 숙종 때까지 이어졌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대전속록(大典續錄)』
『한국군제사(韓國軍制史)』-근세조선전기편(近世朝鮮前期篇)-(육군본부, 『한국군사연구실』, 1968)
「조선중기(朝鮮中期) 왜란기(倭亂期)의 군령(軍令)·군사지휘권(軍事指揮權) 연구(硏究)-도체찰사(都體察使)·도원수(都元帥)를 중심으로-」(차문섭, 『한국사학』5, 1983)
「조선중기(朝鮮中期) 왜란기(倭亂期)의 군령(軍令)·군사지휘권(軍事指揮權) 연구(硏究)-도체찰사(都體察使)·도원수(都元帥)를 중심으로-」(차문섭, 『한국사학』5,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