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담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춘담문집
춘담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기동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기동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5책. 석인본. 1966년 아들 근섭(近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근섭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5에 시 600여수, 권6에 서(書) 70편, 잡저 7편, 권7·8에 서(序) 37편, 기(記) 본9편, 권9에 발(跋) 26편, 명(銘) 4편, 상량문 3편, 축문 8편, 제문 18편, 비문(碑文) 3편, 권10에 묘갈명 13편, 묘지명 10편, 묘표 3편, 행장 2편, 전(傳) 1편, 부록인 가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우음(偶吟)」이 특별히 많은데, 이는 시대적으로 불우한 울분을 시로써 호소한 반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영노중련(詠魯仲連)」·「영양웅(詠揚雄)」·「영종의(詠鍾儀)」·「영소무(詠蘇武)」·「영조보(詠趙普)」·「타루(墮淚)」·「영엄자릉(詠嚴子陵)」·「영고경(詠高瓊)」·「청영(請纓)」 등의 시들도 역시 우의(寓意)의 작품으로, 작자의 사상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서(書)는 기우만(奇宇萬)·기재(奇宰)와 왕복한 것이 가장 많은데, 대부분 학술관계의 문답들이다. 잡저 중에는 성리학(性理學)에 대하여 논한 「답문율산차의(答文栗山箚義)」·「회간훈(懷簡訓)」·「해몽견주부자문(解夢見朱夫子文)」 등이 주목할 만한다.

특히 1884년(고종 21) 선포된 복제개혁에 대하여 반대하는 내용인 『인갑신변복시서사제자문(因甲申變服示書社諸子文)』에는 명분을 중요시하던 유학자의 보수적 관념이 잘 드러나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