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신매리 석실 고분 ( )

목차
관련 정보
춘천 신매리 석실고분
춘천 신매리 석실고분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봉토석실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춘천신매리석실고분(春川新梅里石室古墳)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1982년 11월 03일 지정)
소재지
강원 춘천시 서면 신매리 177-1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봉토석실분.
개설

1982년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기. 1982년 3월 고분이 있는 신매지구 농경지 정리작업 중에 고분의 천장에 놓였던 뚜껑돌〔蓋石〕이 밀려남으로써 알려지게 되었다. 이 고분은 1982년 3월 20일부터 3월 31일까지 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서 긴급 수습발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고분의 내용이 밝혀지게 되었다.

내용

규모는 주실의 길이가 190㎝, 너비 138㎝, 최대 높이 130㎝이고, 연도는 길이 200㎝, 너비 80㎝, 높이 90㎝이다. 고분 내에서는 유물이 한 점도 출토되지 않았으나 남녀 두 사람의 뼈가 발견되어 합장묘임을 알게 되었다.

고분 내부의 바닥에 시체를 올려놓기 위해 마련된 시상대(屍床臺)는 작은 막돌을 깔고 틈새와 막돌 위로 회(灰)를 메워 발라 두께가 10㎝ 정도 되었다. 이 시상대 외의 바닥도 전면에 회를 5㎝ 두께로 깔았다.

내부 네 벽의 이음새에는 회를 두껍게 발라 서로 엉키게 해서 벽을 튼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축조방법은 연도부(羨道部)의 양벽을 2단으로 쌓았고, 시체를 놓아두는 주실(主室)의 벽은 3, 4단으로 쌓아올렸다. 모든 벽은 비교적 큰 자연석과 냇돌을 사용하였다.

석실 안의 모서리를 죽여 쌓기 위한 모줄임은 넓고 긴 장방형의 판상석(板狀石)을 사용해 2단으로 하였다. 그 위로 둥글고 큰 편평한 돌을 올려 천장석으로 하였다. 연도의 입구는 판상석 하나를 세워 막았고, 연도 위의 개석도 판상석으로 덮었다.

강원도 춘성지역에서 고구려형식을 갖춘 모줄임식천장〔抹角式天障〕의 석실분의 규모와 내부가 밝혀지게 된 것은 이 고분이 최초이다. 또한 내부의 바닥과 시상대가 회다짐으로 처리된 것도 처음 밝혀지게 된 것이다.

이 고분은 비록 고구려지역에서 이러한 규모의 석실에 보이는 벽화는 없지만 고구려 단실분(單室墳)의 양식을 그대로 갖추고 있음을 볼 때, 축조시기는 적어도 6세기 중반 이후로는 내려오지 않으며, 지방의 한 호족무덤으로 여겨지고 있다.

참고문헌

『중도(中島)』-진전보고(進展報告) Ⅱ-(이건무 외, 국립중앙박물관, 198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