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사 ()

목차
사회구조
개념
지표, 자연지형, 인위적 구조물 및 지하면적을 측량하고 측량결과를 정리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전문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지표, 자연지형, 인위적 구조물 및 지하면적을 측량하고 측량결과를 정리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전문가.
내용

측량기사의 측량작업은 다음 3단계로 진행된다. ① 준비단계: 각종 자료나 도면을 수집하고 측량방법과 방침을 세운다.

② 외업: 측량현장에서 각종 측량기기 조절과 계획된 관측방법으로 세부 측량을 실행한다. 측량기구로는 삼각·평판·엘리데이드·구심기·추·자침함·레벨·트랜싯 등을 준비한다. 측량의 기본작업은 거리를 재는 것부터 시작되는데 보통 5명이 한 조로 편성되어 기점에 후수와 기장수가 위치하고 목표점에 목표수가 위치한다.

거리측정은 정확한 값을 내기 위하여 여러 번 반복작업하여 평균값을 계산, 기록한다. 다음에는 제도기를 붙인 평판을 삼각 위에 고정시켜 삼각과 엘리데이드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측점에 평판을 바로 놓는다.

측량지점의 측점에 따라 평판을 옮기며 측량에 임하게 되는데 이 때 레벨의 정준나사를 조정해서 높낮이를 측량하며 트랜싯으로 수평각·연직각을 측정한다.

③ 사무실에서의 정리작업: 현장에서 기록한 측정값을 계산한다. 허용 오차를 검사, 조정하여 도면을 작성하고 면적·세척·지형·고저·경계·거리 및 위치 등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최근에는 접근하기 힘든 산악지대나 장애물이 많은 큰 도시의 도형도를 만들 때에는 항공사진 측량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측량기계들은 점차 자동화 추세로 나아가 성능이 뛰어난 기계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측량기사가 되려면 대학 및 전문대학의 도시계획학과, 지역개발학과, 환경공학과, 토목 및 건축공학과에서 과정을 이수하면 된다. 자격제도로는 1974년 측지기사 1급으로 신설되어 1999년 3월 명칭이 바뀐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가 있다.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한다. 한국고용직업분류(2018 분류표)에 의하면, 측량기사는 “건축·토목공학기술자 및 시험원” 하부의 “측량·지리정보전문가”로 분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측량으로 처음 작성된 지도는 1834년(순조 34)의 『청구도(靑丘圖)』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1861년(철종 12) 김정호(金正浩)가 작성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도 측량에 의하여 작성된 지도이다. 지금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는 지형도와 지적도는 1910년부터 8년 여에 걸쳐 근대의 과학적인 측량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비교적 정밀도가 뛰어나다.

측량기사는 모든 측정용 기계 및 부속품을 이용하여 고도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어야 하며 업무와 관련된 기록문서나 도표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모든 측정기구를 결합시키고 취급 및 판독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른 결과를 평가,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측량기사의 현장적응 훈련기간으로는 약 3∼5개월 정도가 소요되며 숙련된 측량사가 되기까지는 적어도 2∼3년 이상의 현장경험이 필요하다. 측량기사들은 대부분 일반 설계사무소 또는 용역을 맡은 엔지니어링회사에 취업하고 있다. 관련협회로는 대한측량협회·측량연구회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표준직업분류』(경제기획원, 1974)
『직업의 세계』(노동부, 1986)
『측지학·사진측량』(남종희·최용기, 성안당, 1986)
『한국직업사전』(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1999)
집필자
곽해선(한국생산성본부, 사회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