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사(謁奢)’ 또는 ‘대상(大相)’이라고도 한다. 3세기 이전 고구려 초기의 관계조직에 보이는 사자(使者)로부터 발전되어 나온 것으로, 4세기 이후 고구려 왕권의 전제화과정에서 새롭게 정비되어간 관제의 14관등 중 제4위의 관등으로 성립되었으며 중국의 정3품직에 상당한다.
대대로(大對盧)·태대형(太大兄)·울절(鬱折)·조의두대형(皁衣頭大兄)과 함께 고구려 최고의 신분과 계급을 이루고 있다. 즉, 제5관등인 조의두대형 이상만이 최고의 무관직인 대모달(大模達)에 임명될 수 있었고,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고 병사를 징발하며 관작을 줄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고구려사회에서 고위 귀족관료에 의한 합좌제도(合坐制度)가 실시되었음을 말하여 준다. 태대사자는 대사자(大使者)·수위사자(收位使者)·소사자(小使者) 등과 같이 사자에서 파생되어 나왔는데, 사자는 본래 족장의 가신적(家臣的) 관료였으나 고구려가 고대국가로 발전하면서 행정적인 관료로 성장하였던 존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