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음조위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태음인 체질의 표한증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태음인 체질의 표한증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쓴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기록되어 있다.

표한증은 태음인 가운데서도 한기를 잘 타는 사람, 곧 소병한자(素病寒者)에게 쉽게 발생하는 위완수한표한병(胃腕受寒表寒病)의 대표적 병증이다.

소병한자는 얼굴이 창백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숨가쁨, 목이 답답하여 습관적으로 하는 기침이나 설사 등의 증후가 평소에 쉽게 나타나며, 열을 잘 타는 사람, 즉 소병열자(素病熱者)에게 잘 발생하며, 간에 열이 심한 증상과 반대의 경우이다. 식체(食滯), 가슴과 배의 더부룩함, 설사 등이 주된 증상이다.

처방은 의이인(薏苡仁: 율무), 건율(乾栗: 말린 밤) 각 11.25g, 나복자(蘿葍子: 무씨) 7.5g, 오미자 · 주1 · 주2 · 주3 · 주4 각 3.75g으로 되어

군약(君藥)주5으로 쓰인 의이인은 폐위(肺胃)의 사열(邪熱)을 없앨 뿐 아니라, 간화(肝火)가 심하여짐을 막는 약이다. 여기에 위장을 튼튼히 하고 신기(腎氣)를 보하는 건율(乾栗)을 배합하여 토(土)를 돕고 목(木)을 누르고 신(腎)을 보하는 작용을 얻어 병의 근원을 바로잡도록 한 것이다.

이 처방의 적용 범위는 주6 · 중풍 등으로 몸의 일부분에 마비가 일어나는 병증, 중풍허증(中風虛症) · 상한으로 한기를 타는 증상, 골수(骨髓)가 마르는 증상, 심한 출혈에서 오는 현기증, 바람이나 한기로 목이 쉬는 증상 등 다양하다. 이 처방을 응용한 처방은 다음과 같다.

민어교(民魚膠) 또는 민어포(民魚脯)를 첨가하면 화석조위탕(花惜調胃湯)으로, 태음인 여성의 음탈증(陰脫症)을 치료한다. 마황 11.25g을 증량하면 마황소위탕으로, 해수와 천식에

저근백피(樗根白皮)주7 7.5g을 첨가하면 고기조위탕(固氣調胃湯)으로, 설사를 치료한다. 승마(升麻)주8를 첨가하면 승지조위탕(升芷調胃湯)으로, 무한(無汗) · 산(疝) · 음종(陰腫) · 음양(陰痒) 등의 증세를 치료한다.

또, 주9 · 무한, 숨이 가쁘면서 수십 일간 설사가 그치지 않을 경우에는 저근(樗根) 3.75g을 첨가하여 쓰고, 전염병[瘟病]으로 죽조차 먹기 힘들 때에는 승마와 마황을 3.75g씩 추가하여 투여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증보동의사상신편』(원지상, 종합의원사, 1974)
『東醫處方大典』(廉泰煥, 杏林書院, 1975)
주석
주1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50cm이고 뿌리는 짧고 굵으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선 모양 또는 선상 피침 모양으로 부추의 잎과 비슷하다. 5~6월에 담자색의 작은 꽃이 총상 화서로 잎 사이에서 나온 가는 꽃줄기 끝에 밀착하여 피고 열매는 검푸른 장과(漿果)로 익는다. 덩이뿌리는 약재로 쓴다. 산지(山地)의 나무 그늘에 나는데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강원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

천남성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가 많으며, 잎은 뭉쳐나고 선 모양이다. 6~7월에 잎처럼 생긴 꽃줄기 끝에 누런 녹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뿌리와 줄기는 청량 건위제나 구충제로 쓰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흐르는 물가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3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뿌리는 통통하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뭉쳐난다.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뿌리는 식용하거나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4

마황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30~70cm이며, 속새와 비슷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줄기에 뚜렷한 마디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여름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피며 열매는 붉게 익고 두 개의 씨가 들어 있다. 중국 북부, 몽골의 사막 지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5

한약 처방에서 가장 주가 되는 약.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숙지황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6

‘구안괘사’의 방언    우리말샘

주7

가죽나무 뿌리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대하(帶下), 설사,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8

구릿대의 뿌리. 감기로 인한 두통이나 요통, 비연(鼻淵) 따위에 쓰며 종기에 외과약으로도 쓴다.    우리말샘

주9

심한 정신적 자극을 받거나 심장이 허할 때 가슴이 울렁거리고 불안한 증상.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