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쓴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기록되어 있다.
표한증은 태음인 가운데서도 한기를 잘 타는 사람, 곧 소병한자(素病寒者)에게 쉽게 발생하는 위완수한표한병(胃腕受寒表寒病)의 대표적 병증이다.
소병한자는 얼굴이 창백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숨가쁨, 목이 답답하여 습관적으로 하는 기침이나 설사 등의 증후가 평소에 쉽게 나타나며, 열을 잘 타는 사람, 즉 소병열자(素病熱者)에게 잘 발생하며, 간에 열이 심한 증상과 반대의 경우이다. 식체(食滯), 가슴과 배의 더부룩함, 설사 등이 주된 증상이다.
처방은 의이인(薏苡仁: 율무), 건율(乾栗: 말린 밤) 각 11.25g, 나복자(蘿葍子: 무씨) 7.5g, 오미자 · 맥문동(麥門冬) · 석창포(石菖蒲) · 길경(桔梗) · 마황(麻黃)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군약(君藥)으로 쓰인 의이인은 폐위(肺胃)의 사열(邪熱)을 없앨 뿐 아니라, 간화(肝火)가 심하여짐을 막는 약이다. 여기에 위장을 튼튼히 하고 신기(腎氣)를 보하는 건율(乾栗)을 배합하여 토(土)를 돕고 목(木)을 누르고 신(腎)을 보하는 작용을 얻어 병의 근원을 바로잡도록 한 것이다.
이 처방의 적용 범위는 와사증(喎斜症) · 중풍 등으로 몸의 일부분에 마비가 일어나는 병증, 중풍허증(中風虛症) · 상한으로 한기를 타는 증상, 골수(骨髓)가 마르는 증상, 심한 출혈에서 오는 현기증, 바람이나 한기로 목이 쉬는 증상 등 다양하다. 이 처방을 응용한 처방은 다음과 같다.
민어교(民魚膠) 또는 민어포(民魚脯)를 첨가하면 화석조위탕(花惜調胃湯)으로, 태음인 여성의 음탈증(陰脫症)을 치료한다. 마황 11.25g을 증량하면 마황소위탕으로, 해수와 천식에 쓴다.
저근백피(樗根白皮) 7.5g을 첨가하면 고기조위탕(固氣調胃湯)으로, 설사를 치료한다. 승마(升麻)와 백지(白芷)를 첨가하면 승지조위탕(升芷調胃湯)으로, 무한(無汗) · 산(疝) · 음종(陰腫) · 음양(陰痒) 등의 증세를 치료한다.
또, 정충(怔忡) · 무한, 숨이 가쁘면서 수십 일간 설사가 그치지 않을 경우에는 저근(樗根) 3.75g을 첨가하여 쓰고, 전염병[瘟病]으로 죽조차 먹기 힘들 때에는 승마와 마황을 3.75g씩 추가하여 투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