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사 ()

박인로의 노계집 중 태평사
박인로의 노계집 중 태평사
고전시가
작품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개설

박인로가 38세 때에 지은 작품으로 작자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에 실려 있다. 작자가 경상도좌병사 성윤문(成允文)의 지휘 아래 왜적을 막고 있을 때 부산에 있던 적이 밤에 달아나자, 성윤문이 10여일 그곳에 머무른 뒤에 본영으로 돌아와 수군(水軍)을 위로하기 위하여 박인로로 하여금 이 가사를 짓게 한 것이다.

내용 및 형식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72행이며, 가사의 율격을 충실히 지켰다. 그러나, 2음보를 추가하여 6음보로 늘어난 행이 두 군데, 1음보가 결손되어 3음보로 축약된 행이 한 군데 보인다. 3인칭 서술시점에 의하여 객관적 서사(敍事)로 진술되다가 작품의 끝부분에 이르러서 “자유생령(子遺生靈)들아 성은(聖恩)인줄 아나산다”라고 하여, 전쟁에서 살아남은 백성들을 청자(聽者)로 설정하여 교시적 설득을 하였다.

이어서 “천운순환(天運循環)을 아옵게다 하나님아/우아방국(佑我邦國)하샤 만세무강(萬歲無彊) 눌리소셔/당우천지(唐虞天地)예 삼대일월(三代日月) 비최소셔/오만사년(於萬斯年)에 병혁(兵革)을 그치소셔/경전착정(耕田鑿井)에 격양가(擊壤歌)를 불니소셔.”라고 하여 하느님(天)을 청자로 설정해서 작자가 소망하는 이상세계가 실현되기를 강렬하게 염원하였다.

내용상의 짜임은 기(起) · 승(承) · 전(轉) · 결(結)의 구조를 취하였는데, 이 4단락의 요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뜻밖에 왜적의 침입으로 피해가 컸지만 명군(明軍)의 도움으로 그들을 내쫓음(처음∼몃몃ᄒᆡ를 디내연고), ② 정유재란을 당하여 힘을 다하여 싸우는 아군의 모습과 전란의 끝마침(∼太平오ᄂᆞᆯ 보완디고), ③ 전란이 끝난 뒤의 명랑 · 쾌활하게 노는 모습(∼이 ᄀᆞᆺᄒᆞ니 ᄯᅩ 인ᄂᆞᆫ가), ④ 평화를 맞아 모두 충효 일념으로 오륜을 밝히고 태평세월을 기원하며 살자(∼끝)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의 이념적 기반은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이 넘치는 충효사상이며 평화와 태평성대가 계속되기를 염원하는 충정이 깔려 있다. 표현 기교가 다소 능숙하지 못하며 한문어투와 고사성어가 많은 것이 흠이지만, 그 문체가 강건 · 웅렬 · 화려하고 무인다운 기상이 넘쳐 흐르는 작품이다. 또, 전체의 구성이 웅장한 가운데 섬세함이 숨어 있고, 조어(造語)가 치밀하고 사용된 어휘가 풍부하다. 이 작품은 작자의 초기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시가문학사상 3대시가인으로 꼽힐만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참고문헌

『송강·노계·고산의 시가문학』(박성의, 현암사, 1966)
『박노계연구』(이상보, 일지사, 196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