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꾼

목차
사회구조
개념
하천의 흐름을 이용해 벌채된 원목 · 대나무 등을 묶어서 뗏목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하던 기술자.
목차
정의
하천의 흐름을 이용해 벌채된 원목 · 대나무 등을 묶어서 뗏목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하던 기술자.
내용

‘떼’라고도 하는 뗏목은 재료·구조·형식에 따라 구분된다. 재료로는 중국·한국·일본에서 쓰는 목재 및 대나무 뗏목이 있고, 형식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쓰는 평면형과 안쪽이 오목한 내요형(內凹形)이 있다. 구조상으로는 중국 동북부에서 쓰는 복층형(復層形)과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단층형이 있다.

쇠줄 등으로 원목을 묶되 원목에 구멍을 내거나 쇠고리를 박아 묶는 형식 등으로 떼를 만든다. 원목의 밑둥을 깎아 밧줄 등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묶어서 만드는 방법도 쓴다.

뗏목에 의한 임산자원의 운반은 육로교통의 발전과 더불어 없어지게 되었고, 그에 따라 통꾼도 직업으로서의 존재를 잃게 되었다.

참고문헌

『뗏목유적조사보고』5(강원대학교박물관, 1986)
집필자
곽해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