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남 북부 탄전 ( )

목차
산업
지명
평안남도 순천시 · 개천시 · 맹산군 · 덕천시 일대와 평안북도 영변군 일부에 걸쳐 분포하는 무연탄 탄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평안남도 순천시 · 개천시 · 맹산군 · 덕천시 일대와 평안북도 영변군 일부에 걸쳐 분포하는 무연탄 탄전.
내용

면적이 약 1,300㎢(약 4억평)에 이르며 광복 전에는 평남남부탄전·삼척탄전과 함께 우리 나라 3대 무연탄 탄전으로 꼽힐 정도로 규모가 컸고, 산탄량도 많았다.

평안남도에는 이 탄광 외에도 평양 부근의 탄전을 포함한 평남남부탄전이 있는데, 이들을 합하면 이 지역은 매장량이 약 8억t에 이르는 우리 나라 최대의 무연탄 생산 지역을 이룬다.

평남북부탄전은 석탄기·이첩기(二疊紀)에 속하는 사동통(寺洞統)의 지층에 특히 우수한 무연탄이 부존되어 있다. 이 밖에 사동통을 에워싸고 있는 조선계·상원계(祥原系)에도 협탄층이 두껍게 깔려 있다.

다만, 교통이 불편한 산골에 편재하고 있으므로 개발이 늦어졌으나 1938년 평남북부선이 부설된 뒤부터 주목을 받게 되었다. 광복 후에 이 철도는 평안북도의 용문(龍門)까지 연결되었다.

이곳은 북한의 중요한 탄전으로 꼽히고 있다. 이 탄전 중에서도 개천시의 내동(內東), 덕천시의 덕안(德安)·일하(日下)·잠도(蠶島) 등의 탄광과, 순천시의 밀전탄광(密田炭鑛) 등의 5개 구역은 특히 두꺼운 협탄층을 이루고 있고, 또 오랫동안 지각의 횡압(橫壓)을 받지 않고 안정된 지층을 유지하였으므로 탄층의 연속성이 좋아 채탄에 유리하다.

탄질은 가는 모래의 분말 상태를 이루고, 검푸른 광택을 가지는 최상급의 무연탄으로 고정탄소(固定炭素)도 대체로 80% 이상이 된다.

또한, 이 탄전의 무연탄 중에는 경화괴탄(硬化塊炭)으로 산출되는 것이 많은 것도 유리한 점이다. 평남남부탄전의 무연탄보다 회분함유량이 많고, 휘발분·유황분이 적으므로 가정용 연탄·목탄(木炭) 대용으로 훨씬 유리하다.

참고문헌

『朝鮮主要鑛山槪要』(朝鮮總督府殖産局, 1928)
『신한국지리』(강석오, 새글사, 1971)
집필자
이영택(전 서울여자고등학교, 지리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