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령반도 ()

자연지리
지명
황해남도 강령군과 벽성군 일대를 포함하는 옹진반도의 남동부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은 반도.
정의
황해남도 강령군과 벽성군 일대를 포함하는 옹진반도의 남동부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은 반도.
명칭 유래

'강령'은 1428년영강현과 백령진을 통합하면서 영강현에서 '강' 자를 따고 백령진에서 '령' 자를 따서 강령현이라 하였다.

개설

황해남도 옹진반도의 남동부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은 반도로서 길이가 48㎞, 넓은 곳은 20㎞, 좁은 곳은 0.7㎞ 규모이다.

자연환경

반도는 참나무산(286m)·관각산(冠角山, 222m)·아미산(峨嵋山, 221m) 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심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직선거리에 대한 해안선의 길이의 비는 9.2이다.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고 많은 반도와 만입으로 갈라져 있다. 전반적으로 해발 100m 안팎의 언덕 및 야산으로 구성되었고 해안은 넓은 간석지와 맞닿아 있다.

이 반도는 크게 3개의 지절(肢節)로 나뉘어 있는데 서쪽을 읍저반도(邑底半島), 중앙을 마산반도(馬山半島), 동쪽을 강령반도라 한다. 반도의 북쪽은 까치산(鵲山, 358m)·치마산(裳山, 307m)으로 이어지는 능선으로 벽성군과 옹진군에 접하고 있다.

진산격인 까치산에서 반도 끝인 등산곶(登山串)까지의 거리는 42.5㎞ 가량이며 동서의 거리는 약 20.5㎞ 정도이다.

연평균기온은 10,4℃, 연평균강수량은 1,043.6㎜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센 바람이 자주 불며 8∼9월에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토양의 대부분은 산림 갈색토양과 산림적갈색토양(山林赤褐色土壤)으로 되어 있다.

산림은 소나무·신갈나무·떡갈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감나무·호두나무·대나무·모시풀 등과 같은 온대성 식물이 잘 자란다.

형성 및 변천

주요 기반암은 화강편마암, 천매암(千枚岩), 석회암 등이며 구리·납·아연 등의 유용 광물이 매장되어 있다.

현황

동쪽에 해주만, 서쪽에 마산반도와의 사이에 강령만이 있고, 북쪽에는 황포(黃浦)바다가 있으며, 순위도(巡威島)·용호도(龍湖島)와 휴전선 이남에 대연평도(大延坪島) 등이 있다.

강령반도에는 왕대, 감나무, 오동나무, 모시풀, 닥나무 등이 잘 자라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벼, 옥수수, 수수, 콩, 고구마 등이 있다.

황해 연안 어장에 접해 있어서 앞바다에는 조기, 갈치, 삼치, 까나리, 가자미 등 어족이 풍부하다. 또한 김, 다시마를 기본으로 하는 천해양식기지가 있다.

부포는 어항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옹진선의 신강령(新康翎)역에서 부포 사이에 부포선(釜浦線)이 건설되었고, 또 이와 거의 평행하는 도로가 육상 교통의 간선을 이룬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朝鮮鄕土大百科事典)』(평화문제연구소, 2005)
북한지역정보넷(http://www.cybernk.net/)
집필자
이영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