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암집 ()

목차
관련 정보
평암집
평암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두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두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연활자본. 1938년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유묵(遺墨)이 있으며, 권말에 족손 명학(命學)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2수, 서(書) 10편, 경의(經義) 1편, 권2에 만록(漫錄)·태극도설(太極圖說)·천지간일기도설(天地間一氣圖說)·천지인도설(天地人圖說)·천인심성정도(天人心性情圖)·학(學)·변해(辨解) 각 1편.

권3에 제문 5편, 기(記) 3편, 실록(實錄) 1편, 부록으로 제문 2편, 문집서(文集序)·서(序)·승배제문(陞配祭文)·양정축문(兩丁祝文)·유허비문(遺墟碑文)·묘갈명·표석실기(表石實記)·평암실기(坪菴實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정화된 이상과 청렴한 지조에 의하여 인고고궁(忍苦固窮)으로 단련된 굳건한 시혼이 엿보이는데, 특히 「영대음(靈臺吟)」·「석춘(惜春)」·「욕온천(浴溫泉)」 등에 잘 나타나고 있다.

서(書)는 대개 지구(知舊)에게 문후의 내용으로 보낸 것이다. 「여이부솔경의론변(與李副率經義論辨)」은 『대학』 장구의 계신공구(戒愼恐懼)를 논변한 것인데, 김장생(金長生)과 정경세(鄭經世)간에 강토(講討)된 동정설(動靜說)을 인용, 논평하고 주희(朱熹)의 설을 곁들여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만록(漫錄)」은 존심양성(存心養性)이 심신을 수양함에 있어 가장 긴요한 방법임을 지적하고 사서(四書) 가운데에서 이와 관계된 구절들을 모으고 자기 의견을 부기해놓은 글이다.

특히, 태극도를 비롯하여 천지간일기도 등 여러가지 도(圖)에는 자세한 해설이 붙어 있어 역학(易學)의 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