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4년(성종 15) 성현을 비롯한 권건(權健)·안침(安琛)·김흔(金訢)·이창신(李昌臣)·조위(曺偉)·신종호(申從濩) 등이 시작(詩作)에 참고하기 위하여 천록각(天祿閣) 소장 도서 중 한(漢)·위(魏)에서 원(元) 말에 이르는 시를 모두 모아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는 성현의 서문이 있다.
목판본. 45권. 전체를 전·후집으로 나누어 전집 16권은 시체(詩體)로 편집하고, 후집 29권은 내용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현존하는 판본에는 결질이 많아 전집의 경우 권1∼4, 권9∼12, 권15·16 등 3책이 전하고, 후집은 권3·4, 권11·12, 권13·14, 권15·16, 권17·20, 권21·22, 권23·24, 권27∼29 등 8책이 남아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전집 권1에는 사언체(四言體) 24수, 권2에는 고풍체(古風體)의 의고격(擬古格) 31수, 권3에는 고풍체의 의고용구격(擬古用句格) 26수와 잡시격(雜詩格) 14수, 권4에는 고풍체 유흥우회격(遺興寓懷格) 22수, 잡고체(雜古體) 21수, 언체(言體) 6수, 조체(操體) 22수가 실려 있다. 현존하지는 않으나 권5는 악부체(樂府體), 권6·7은 가체(歌體), 권8은 행체(行體)로 구성되어 있다.
권9는 행체로 낙장(落張)에 실린 것을 제외하면 62수가 남아 있다. 권10에는 행체 79수, 권11에는 음체(吟體) 28수, 곡체(曲體) 57수, 권12에는 곡체 31수, 요체(謠體) 17수, 사체(詞體)는 권말의 낙장 외에 20수가 실려 있으며, 권13은 사체·인체(引體)·사체(思體)·환체(歡體), 권14는 편체(篇體)·영체(詠體)·금언체(禽言體)·백량체(栢梁體)로 구성되어 있다.
권15도 낙장이 있는데, 장단구체(長短句體) 59수가 전한다. 권16에는 집구체(集句體) 5수, 연구체(聯句體) 9수와 절구체로 오언격 46수와 칠언격 34수가 실려 있다.
후집 중 권1·2는 남아 있지 않으며, 모두 유람류(遊覽類)였다. 권3에는 유람류 70수, 권4에는 지리류(地理類)로 부산(賦山) 17수, 부수(賦水) 34수, 부석(賦石) 14수, 부교(賦橋) 5수가 실려 있으며, 권5·6은 천문류(天文類), 권7은 절서류(節序類), 권8은 궁실류(宮室類), 권9는 궁실류·현달류(顯達類), 권10은 한적류(閑適類)로 구성되어 있으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권11은 우상류(憂傷類)로서 부질병(賦疾病) 18수, 부애도(賦哀悼) 15수, 부조고(賦弔古) 44수, 권12는 안락류(安樂類)로 부연음(賦宴飮) 68수, 부다주(賦茶酒) 12수, 권13은 안락류의 부음률(賦音律) 21수, 기용류(器用類)의 부잡기의물(賦雜器衣物) 20수, 문방류(文房類)로 부문방지기(賦文房之器) 12수, 부독서집병논필법(賦讀書集幷論筆法) 21수, 권14는 도화류(圖畵類)로 부화산수(賦畵山水) 50수, 부화초목 9수, 권15는 도서류로 부화령모인족(賦畵翎毛鱗族) 23수, 부화인물(賦畵人物) 42수, 권16은 회고류(懷古類) 62수, 권17은 낙장을 제외하고 회고류 57수가 실려 있다.
권18은 인품류(人品類)로서 부효행 9수, 부어조(賦漁釣) 7수, 부호협(賦豪俠) 3수, 부부인(賦婦人) 38수가 실려 있다. 권19·20은 선석류(仙釋類)로 권19에는 부선 19수, 부석 44수가 실려 있으며, 권20에는 부석 40수가 있으나 낙장이 있다.
권21은 준동류(蠢動類)로 부금(賦禽) 31수, 부수(賦獸) 16수, 부린(賦鱗) 12수, 부충(賦蟲) 17수, 권22는 정식류(靜植類)로 부화(賦花) 62수, 권23은 정식류로 부수(賦樹) 30수, 부과(賦果) 12수, 부초(賦草) 9수, 부채(賦采) 17수, 부곡찬(賦穀饌) 14수, 권24는 기증류(寄贈類) 87수가 실려 있다.
권25도 기증류이며, 권26은 송별류(送別類)이지만 남아 있지는 않다. 권27은 역시 송별류로 87수, 권28은 회방류(懷訪類) 45수 및 잡부류(雜賦類) 24수가 실려 있으며, 권29는 낙장이 많으며 잡부류 50여 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역대 중국의 시를 편집한 것이지만, 방대한 분량 및 시체별·유형별 분류가 보여주듯이 조선 전기 한문학의 수준을 짐작하게 하며, 그 후의 한시 발전에도 기여한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