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유설화 ()

목차
구비문학
개념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기 위한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기 위한 설화.
내용

표면적으로는 인물과 행위와 배경 등 통상적인 이야기 요소들을 모두 갖추고 있는 동시에, 그 배후에 정신적·도덕적·역사적 의미가 담겨 있는, 이중적 구조를 가진 이야기 형식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심상의 전개와 함께 추상적 의미의 층이 그 배후에 동반되므로, 풍유담을 올바로 이해하려면, 표면적 의미와 병행되는 숨은 의미를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 대체적으로 표면적 이야기의 차원(스토리)이 청자(聽者)에게 즐거움을 제공한다면, 내면적 풍유의 차원(의미)은 도덕적 교훈을 주게 된다.

풍유담의 종류는 현실풍유담과 관념풍유담의 두 가지가 있는데, 현실풍유담이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풍유한다면, 관념풍유담은 덕·악덕·심성(心性)·성격 유형 따위의 추상물을 의인화한다. 따라서, 역사와 관련된 언참(言讒 : 미래의 사실을 꼭 맞추어 예언하는 말)들은 현실풍유담에 속할 것이며, 『삼국사기』권46 열전6 설총조에 보이는 <화왕설화 花王說話>와 같은 것은 관념풍유담에 속할 것이다. 그 밖에 설화라고 할 수는 없지만 서사적 문학 형식에 속하는 고전소설에도 풍유담이 종종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가령 숙종이 계비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출하고 장희빈(張禧嬪)을 왕비로 맞아들인 데 대한 성심(聖心)을 깨우치기 위하여 김만중(金萬重)이 지었다는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는 넓은 의미의 현실풍유담에 속할 것이요, 심성을 의인화하였다는 이른바 ‘천군계(天君系)’ 소설들(「수성지」, 「천군연의」, 「천군본기」)은 관념풍유담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관념적 풍유담은 추상적 관념의 구체화이므로, 일반적으로 관념 그대로를 작중인물의 이름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고려 때의 가전 작품으로 ‘술’을 의인화하고 있는 <국순전(麴醇傳)>에는 국씨(麴氏 : 누룩)·모(牟 : 보리)·주(酎 : 술)·순(醇 : 술)·청(淸)이 작중인물로 되어 있다.

풍유담은 이야기 전체가 풍유적인 것도 있지만 때로는 어떤 이야기 속의 한 부분만이 풍유로서 된 것도 있는데, 이러한 것은 삽화적 풍유담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우화(寓話)·비유담(比喩譚)·종교적 강담(宗敎的講談)들은 모두 풍유담의 특별한 형태로 넓은 의미에서의 풍유담 속에 포괄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문학비평용어사전』(이상섭, 민음사, 1976)
A Glossary of Literary Terms(Abrams,M.H., 3rd. ed,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