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은유고 ()

목차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정상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정상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활자본. 이 책은 1936년 아들 정종진(鄭宗溱)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하은유고≫ 권두에 이손(李巽)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백인기(白仁基)와 정종진의 발문 및 박회식(朴會植)의 후기가 있다. 권1은 시 70수, 서(書) 8편, 권2는 기(記) 2편, 서(序) 1편, 발(跋) 2편, 잡저 15편, 권3은 부록 상으로 수연시(晬宴詩) 16수, 제하은당벽상(題荷隱堂壁上)·봉정하은정사(奉呈荷隱精舍)·만장·이문계시(以文稧詩), 권4는 부록 하로 하은거사찬(荷隱居士贊)·봉정하은당사륙문(奉呈荷隱堂四六文)·하은서(荷隱序)·행장·묘갈명·유허비·이문계서(以文稧序)·이문계원록(以文稧員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은유고≫의 시에는 <산장유거 山庄幽居> 2수, <유거 幽居> 2수, <한거제회 閒居題懷> 4수 등의 자연 속에 묻혀 지내며 느끼는 심회를 노래한 작품이 많다. <위객고산시제영 爲客高山時題詠> 9수에서는 고산에 잠시 머무르며 그곳의 경치를 묘사하는 한편으로 나그네 심사를 잘 표현하고 있다. <하은명 荷隱銘>은 자신의 호인 ‘하은’의 뜻풀이를 통하여 호미 메고 달을 보며 도잠(陶潛)의 전원의 즐거움에 가탁하려는 자신의 뜻을 보인 내용이다.

≪하은유고≫의 시 <향약과목 鄕約科目>은 향약재실을 개설하면서 덕업상권(德業相勸)·과실상규(過失相規)·환난상구(患難相救)·예속상교(禮俗相交) 등의 조목에 담긴 의미를 되새겨 적은 것이다.

<상시설 傷時說>은 향약재실을 중수하면서 남원의 용호당서원(龍湖堂書院)이 철폐되어 봉안할 곳이 없어진 주자(朱子)와 여조겸(呂祖謙)의 영정을 모셔온 시말과, 이후 학교를 재실에 두게 되면서 이 영정이 모르는 사이에 철거된 일을 적어 유가의 도가 땅에 떨어짐을 근심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하은유고≫의 시 <낙전원설 樂田園說>은 도잠의 자취를 사모하며 전원에서의 삶을 즐거워하는 마음을 적었다. <가중유서 家中遺書>는 후손에게 남긴 글이다. 선산에 성묘하러 가서 벌초하던 전후의 일을 자세히 적고 조상에 대한 곡진한 정성을 당부한 내용이다.

<죽사박회식효행실기 竹史朴會植孝行實記>는 효자 박회식의 갸륵한 효성에 산중 백호(白虎)가 감응하여 길을 인도한 일 등을 적었다. ≪하은유고≫의 부록 상하는 저자에 관한 문하 제자들의 시문을 모아놓은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도서에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