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곡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홍서봉의 시 · 소차 · 비명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홍서봉의 시 · 소차 · 비명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8권 3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1∼5에 시 460수, 권6에 소차(疏箚) 7편, 권7에 비명 9편, 권8에 제문 7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시는 대체로 차운(次韻) 또는 증별시(贈別詩)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관직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직무상 여러 곳을 오가며 당대의 명인들과 주고받은 작품들도 적지 않다.

「증한석봉운(贈韓石峯韻)」은 한호(韓濩)의 필법의 신묘함을 찬탄한 것으로 신필에 대한 감동적인 부러움이 나타나 있다.

소차는 대부분이 사직에 관계된 것으로, 「사병판차(辭兵判箚)」는 갑작스러운 진급에 대하여 놀라움을 나타낸 것으로, 능력이 미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중책을 맡김에 대한 부당론을 펼치면서 사직을 받아줄 것을 간곡히 진언한 것이다.

「의당곽자의사봉분양왕표(擬唐郭子儀謝封汾陽王表)」는 겸양의 미덕을 표출한 것으로 오직 권력이나 명성을 떠난 위국충절(爲國忠節)의 가치성을 높이 평가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책봉사황태자전(冊封辭皇太子箋)」은 책봉을 받음으로써 황태자에게 고마움을 표시한 것으로, 모든 힘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한 내용이다.

「사은표(謝恩表)」는 처우의 융성함에 대하여 왕조에 깊은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항상 자신의 어리석음으로 말미암아 조정을 욕되게 하고 나라의 깊은 은의를 저버리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나타낸 글이다.

뛰어난 감동적인 생명력과 남다른 겸양 및 결백에서 우러나오는 인간성과 우국충정의 절실함을 엿볼 수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