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남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휘기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휘기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4권 4책. 필사본. 권두에 이종렬(李鍾烈)의 서문이, 권말에 이수한(李壽翰)의 발문과 손자 성원(聲源)의 후지(後識)가 있다. 벽진이씨대종회에 있다.

권1∼3에 시 155수, 서(書) 21편, 잡저 22편, 서(序) 4편, 기(記) 3편, 발(跋) 3편, 상량문 4편, 고유문 1편, 제문 25편, 애사 4편, 묘갈명 1편, 묘지명 1편, 유사 9편, 권4에 부록으로 만장 25수, 제문 6편, 기(記)·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일제치하에서의 울분을 토로한 것이 많은데, 그 중 「학남초당(鶴南草堂)」에는 모든 세사(世事)를 잊어버리고 산중에 은거하면서 시와 글로 세월을 보내고자 하는 뜻이 담겨 있다. 「희봉차일(喜逢此日)」에서는 광복을 맞는 기쁨과 새 희망을 피력하고 있다.

서(書) 중 「상척암김선생(上拓庵金先生)」은 영남 지방의 거유인 김도화(金道和)에게 보낸 것으로, 학문을 연구하는 방법을 질의한 내용이다. 또한, 별지의 「심경촬요(心經撮要)」에서는 『심경』 중 주요한 부분을 발췌, 이해하기 어려운 곳을 표시하여 해석하였다.

「논단군향사사(論檀君享祀事)」는 광복 이후 국기가 전연 서지 않은 상태에서 단군을 국조로 숭배하여 국정의 지주로 삼자는 여론에 대하여 찬성하는 뜻으로 쓴 글로, 아울러 기독교계 등의 반대의견을 극력 논박하였다.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은 유학의 각 경전에 언급되어 있는 인심과 도심에 대하여 논술한 글로, 주희(朱熹)의 이기설(理氣說)을 인용하여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였다. 이 밖에도 이기의 핵심을 설명한 「사칠설(四七說)」과, 우리나라 고대의 역사를 평론한 「단군론」·「기자론」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