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림속집 ()

목차
관련 정보
학림속집
학림속집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권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권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활자본. 이 책은 권재중(權在中)이 편집하고 권태동(權泰東)이 주관하여 1931년 예천(醴泉)에서 간행하였다. 원래 1844년(헌종 10) 문집 12권이 간행되었으나 시속에 저촉되는 바가 많아 빠진 것이 있어 새로 속집을 만들었다고 한다. 원집은 전하지 않고, 같은 해 제작한 목판본 『학림집(鶴林集)』(안동대학교 퇴계학자료총서 영인)이 있다.

『학림속집』 권두에 이남규(李南珪)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권상익(權相翊)과 권재중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19수, 소(疏) 2편, 서(書) 3편, 서(序) 1편, 변(辨) 1편, 논(論) 2편, 전(傳) 1편, 제발(題跋) 3편, 권2는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림속집』의 시는 대부분 만시(輓詩)와 차운시이다. 「청죄의원제관소(請罪醫院諸官疏)」는 김한동(金翰東)·유광억(柳光澺)·김희직(金熙稷) 등과 합소(合疏)한 것이다. 1786년(정조 10) 문효세자(文孝世子)와 성빈(成嬪)이 의관이 제조한 약을 먹고 연이어 사망하자 의관의 음모가 있다 하여 엄벌에 처하여야 함을 주장한 글이다.

『학림속집』의 「의리변무소(義理辨誣疏)」는 사도세자(思悼世子) 사건과 관련하여 벽파(僻派)의 거두 김달순(金達淳)을 공박한 글로, 시파(時派)와 벽파의 대립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답채번암제공(答蔡樊巖濟恭)」도 같은 남인(南人)인 채제공과 사건에 대하여 의논한 글이다. 「천휘록서(闡揮錄序)」는 사도세자의 폐위와 죽음·신원 등의 전말을 직접 기록하여 책으로 엮고 덧붙여 쓴 서문이다.

『학림속집』의 「주공동정변(周公東征辨)」은 주공이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을 주살한 데 대한 「채씨집전(蔡氏集傳)」의 설을 반박한 것이다. 「완벽론(完璧論)」과 「절극치론(折屐齒論)」은 각기 인상여(藺相如)와 사안(謝安)의 고사에 대한 역사인물론이다. 「김효자전(金孝子傳)」은 안동 김한창(金漢昌)의 효행을 기록한 것이고, 「제성리회통(題性理會通)」은 불교와 양명학 등 이단의 설의 오류를 지적한 성리서(性理書)에 쓴 발문이다.

『학림속집』의 부록에는 김굉(金㙆)이 쓴 저자의 행장, 이주정(李周禎)의 묘갈문, 이우(李堣) 외 15인 만사, 문생 이장수(李樟秀)와 권규도(權奎度)의 만사 등이 들어 있다. 또, 김광제(金光濟)·김굉·김응흠(金應欽)·김구련(金龜鍊)과 문생 및 친족의 제문 12편도 함께 실려 있다. 국립중앙도서관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