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산한언 ()

목차
관련 정보
학산한언
학산한언
구비문학
문헌
조선후기 숙종 연간에 신돈복이 견문한 이야기들을 모아 엮은 야담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숙종 연간에 신돈복이 견문한 이야기들을 모아 엮은 야담집.
내용

『야승(野乘)』 제21책에 실려있다. 편자에 대하여는 내표제(內表題) 하단에 ‘신돈복저(辛敦複著)’라 명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해주는 기록들이 본문 중에도 보인다.

총 100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30여편이 『청구야담(靑丘野談)』과 중복되는 것으로 보아, 『청구야담』은 『학산한언』에서 상당수의 자료를 차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내용은 주로 시화(詩話)·권학(勸學)·풍수(風水)·효자(孝子)·의인(義人)·응보(應報)·도술(道術)·신귀(神鬼)·신수(神獸)에 관한 이야기와 기타 명나라의 멸망 원인, 명나라 유민(遺民)들의 청나라에 대한 불복종, 우리나라의 국토와 인물, 중국 명사들의 국토편력 및 우리나라 인물들의 몰경험에 대한 견해, 조양래(趙陽來)의 신점(神占), 영변 길정녀(吉貞女)와 신명희(申命熙)의 결연담, 김성항(金成抗)부부의 일화, 정선(鄭敾)의 그림에 대한 평, 임경업(林慶業)장군 일화, 규염객(虯髥客)과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상관에 대한 견해, 촉(蜀)나라 후주(後主) 왕연(王衍)이 한소열(漢昭烈)의 후신(後身)이라는 이야기, 연·계(燕·薊)의 장례풍속 등이 수록되어 있다. 『야승』은 장서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문헌설화전집(韓國文獻說話全集)』8(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편, 태학사, 1981)
「조선후기문헌설화(朝鮮後期文獻說話)의 연구(硏究)」(조희웅, 형설출판사,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