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은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두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두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2책. 활자본. 1938년 후손 관구(錧九)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남정철(南廷哲)의 서문과 정제은(鄭濟殷)이 찬한 연보가 실려 있고, 권말에 신현구(申鉉求)·김세진(金世鎭)·관구의 발문이 실려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37수, 여문(儷文) 5편, 권2에 기(記) 3편, 축문 3편, 서(序) 14편, 통문(通文) 5편, 시강록(侍講錄) 1편, 하첩문(下帖文) 1편, 장(狀) 3편, 설(說) 1편, 발(跋) 2편, 품목(禀目) 1편, 비명 1편, 시 45수, 부록으로 기(記) 2편, 권3에 시 118수, 장(狀) 5편, 기 2편, 명(銘) 1편, 뇌(誄) 1편, 유품(儒稟) 2편, 행장추술기 1편, 서(序) 17편, 행장록·통문·상량문 각 1편, 비명 4편, 발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기행시가 특히 많고, 대부분 벗들과 주고 받은 화작이다. 「태학동기(胎鶴洞記)」는 만년에 자신이 은거하던 운산(雲山) 태학동의 선계와도 같은 아름다운 경치를 적은 것이다.

「금강산유람기」에서는 41세 되던 1878년(고종 15) 금강산 유람의 경위와 함께 동대문을 나서면서부터 금강산 명승각처를 두루 거쳐 동해 총석정에 이르기까지의 절경을 이정(里程)까지 표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흥복전조강입시(興福殿朝講入侍)」는 1889년 민영환(閔泳煥)·권숙(權潚) 등과 함께 시강(侍講) 경연에 참여하였을 때 문답한 내용이다. 권2 말미에는 김추성(金湫性)의 「태학동기」와 유관채(柳觀埰)의 「학은재기(鶴隱齋記)」를 수록하였다.

그 밖에 각종 계(契)의 절목 및 통문이 다수 실려 있어 운산(雲山) 지역사회 여러 일에 앞장섰던 저자의 면모를 알 수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