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상오(相五). 한박(韓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중영(韓重英)이고, 아버지는 서령(署令) 한익창(韓翊昌)이며, 어머니는 홍시립(洪時立)의 딸이다. 1699년(숙종 25) 직장(直長)으로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1713년 중국사신이 되돌아갈 때 평양에 머무르면서 대접소홀을 문제삼아 행패를 부리자 중로문안사로 나갔으며, 이듬해 승지가 되었다. 그 뒤 계속하여 왕의 측근에서 승지로 왕을 보필하였다.
1718년 여주목사로 나갔는데, 이때 사헌부로부터 재물을 탐한다는 탄핵을 받았으나 왕의 비호로 무사하였다. 이듬해 다시 승지가 되어 중앙으로 돌아온 뒤 1721년(경종 1) 분병조참의가 되었다.
이 해 노론이 왕세제(王世弟: 연잉군)의 대리청정을 주장하자 소론 조태구(趙泰耉)·유봉휘(柳鳳輝) 등과 이를 극력 반대하였다. 그는 이 일로 노론의 강력한 반발을 받아 절도에 위리안치하라는 대간들의 탄핵이 있었으나 왕의 비호로 무사하였다. 이 해 공조참의가 된 뒤 함경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재임 중 임지에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