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장석 ()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이조참판, 경기도관찰사,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치수(穉綏), 치유(穉由)
미산(眉山), 경향(經香)
시호
효문(孝文), 문간(文簡)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2년(순조 32)
사망 연도
1894년(고종 31)
본관
청주(淸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이조참판, 경기도관찰사,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치수(穉綏)·치유(穉由), 호는 미산(眉山)·경향(經香). 한필교(韓弼敎)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2년(고종 9)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873년 홍정후(洪正厚)와 같이 홍문관의 부수찬이 되고 교리와 부응교를 거쳐 1881년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

1882년 이조참의를 거쳐 1883년 1월에는 통리내무아문(統理內務衙門)을 개편하여 만든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의 협판군국사무(協辦軍國事務)에 임명되어 호무(戶務)에 종사하였다. 같은 해 5월 통리군국사무아문에서 전선사(典膳司)를 관장하며 별시회시시관(別試會試試官)을 역임하였으며, 11월 예문관제학을 거쳐 이듬해 3월에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886년 2월 홍문관제학, 같은 해 3월 예조판서, 1888년 형조판서, 1889년 이조판서, 같은 해 12월에 다시 예조판서, 이듬 해 3월 함경도관찰사, 1891년에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유신환(兪莘煥)의 문하인 가운데 김윤식(金允植)·민태호(閔台鎬)와 함께 당대의 문장가로 유명하였다. 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미산집』이 있다. 시호는 효문(孝文)이었으나, 1910년 문간(文簡)으로 개시(改諡)되었다.

참고문헌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한국도서해제』(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