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한

김복한 필적
김복한 필적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승정원승지, 형조참의 등을 역임하다가 을미사변 이후 의병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국권 피탈 이후 파리장서 서명운동에 가담한 문신 · 의병장 · 독립운동가.
이칭
원오(元五)
지산(志山)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0년(철종 11)
사망 연도
1924년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충청남도 홍주
관련 사건
갑오경장|명성왕후 시해 사건|을사조약
정의
개항기 때, 승정원승지, 형조참의 등을 역임하다가 을미사변 이후 의병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국권 피탈 이후 파리장서 서명운동에 가담한 문신 · 의병장 ·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원오(元五), 호는 지산(志山). 충청남도 홍주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892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홍문관부교리, 이듬해에는 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에 제수되었으며 성균관대사성 · 형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894년 승정원승지에 제수되었다. 그러나 그 해 6월에 갑오경장이 시작되자, 기울어져가는 국운을 한탄하며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가 자정(自靖)하기로 결심하였다.

이듬해 8월에 명성황후주2되고 주1이 내리자, 이설(李偰) · 안병찬(安炳瓚) 등과 같이 홍주목사 이승우(李勝宇)에게 권유해 항일의병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승우가 일제와 내통함으로써 일본군에게 잡혀 투옥되었다.

고종의 특지로 석방되어 성균관장 ·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었으나, 왜적과 역적들을 토벌하지 못했다 하여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몰두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이설과 함께 이지용(李址鎔) · 박제순(朴齊純) · 이완용(李完用) 등 5적의 참수를 간청하는 소를 올리다가 투옥되었다.

1906년에는 민종식(閔宗植)과 홍주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싸우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07년에도 의병 은닉과 민심 선동 등의 혐의로 체포되었다. 공주로 압송되는 도중에 일본순검에게 무수히 구타당하고 어렵게 목숨을 건졌으나, 그 후유증으로 평생 식사와 용변을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게 되었다.

1910년 우리나라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주3된 뒤로는 일제의 심한 감시 속에 두문불출하였다. 1919년 3 · 1운동이 일어나자 문인 임경호를 상경시켜 유림대표들과 협의하게 하였다.

또 영남의 곽종석(郭鍾錫)과 함께 호서 유림을 대표해 전국 유림 137명의 서명을 받아 주4에 독립청원서인 파리장서(巴里長書)를 발송하였다. 뒤에 발각되어 모두 일본경찰에 붙잡혔는데, 옥중에서 중병으로 90여일 만에 석방되었다. 1921년부터는 인지사(仁智社)를 세워 후진 양성에 온 힘을 기울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한국통사』
『홍양기사(洪陽紀事)』
『지산김복한선생연보(志山金福漢先生年譜)』(1952)
『지산김복한선생약사(志山金福漢先生略史)』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3·1운동과 유교계」(허선도, 『3·1운동50주년기념논문집』, 동아일보사, 1969)
주석
주1

조선 고종 32년(1895) 11월에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상투 풍속을 없애고 머리를 짧게 깎도록 한 명령. 이를 계기로 의병 활동이 확산되었다. 우리말샘

주2

부모나 임금 등을 죽임. 우리말샘

주3

남의 재물이나 다른 나라의 영토를 한데 아울러서 제 것으로 만듦. 우리말샘

주4

1919년에 제일 차 세계 대전의 종결을 위하여 승전국들이 파리에서 개최한 강화 회의. 미국ㆍ영국ㆍ프랑스의 3국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독일과 베르사유 조약을, 오스트리아와 생제르맹 조약을, 불가리아와 뇌이 조약을, 헝가리와 트리아농 조약을, 튀르키예와 세브르 조약을 체결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항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